X

[한국사회를 이끈 70대 상품]재형저축

최정희 기자I 2015.08.15 12:31:38
1979년 한일은행(현 우리은행)이 출시한 목돈마련저축(재형저축) 안내장. 10월 10일부터 대폭 금리 인상을 단행해 최고 연리 33.1%를 제공한다는 문구가 적혀있다. (출처: 우리은행)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재형저축은 1976년 4월 1일 처음 세상에 태어나 1995년 사라졌다가 지난 2013년 3월 부활했다. 그러나 3년만에 또 다시 폐지될 운명에 놓였다.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재형저축은 최고의 재테크 상품이었다. 월 급여가 25만원이하(해외근로자 50만원)인 근로자가 급여의 30%까지 저축할 수 있다는 제한이 있었지만, 직장인들이면 너나할 것없이 가입하던 필수품이었다. 당시 재형저축은 ‘월급여 목돈마련저축증서’로 불리며 20~30%의 이자를 제공하고 비과세 혜택까지 주어져 근로자의 재산형성을 돕는다는 취지 그대로 가난했던 삶에 희망이 됐다.

1983년 출시됐던 한일은행(현 우리은행) 목돈마련저축(재형저축)의 통장 모습
도입 초기인 1976년엔 5년만기 기준으로 연 28.1%의 금리를 제공했고, 1980년엔 연 최고 41.6%까지 올랐었다. 이만한 재테크가 없었던 셈이다. 재형저축이 처음 나왔을 때만 해도 국민은행, 한국주택은행, 한국투자신탁에서만 가입이 가능했으나 1979년 5월 11일부터 전 금융기관에서 취급할 수 있게 됐다. 1979년 10월 당시 한일은행(현 우리은행)은 연 최고 33.1%의 이자를 지급하는 재형저축 상품을 내놨다.

시중은행들이 높은 이자를 지급할 수 있었던 것은 법정장려금으로 정부 지원금을 받았기 때문이다. 결국 이 부분이 발목을 잡아 재원 부족으로 1995년 판매가 중단됐다. 재형저축은 2013년 3월 저축률을 높이기 위해 재도입됐지만, 금리는 4%초반 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총급여 5000만원 이하인 근로자가 7년을 가입(분기별 300만원씩 연간 1200만원 한도)해야 비과세 혜택을 받지만, 금리가 워낙 낮은데다 유지기간도 길어 해지율도 높은 편이다. 재형저축에 대한 비과세 혜택은 올해말 사라진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