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통계가 아닌 실험적 통계는 새로운 유형의 데이터를 활용하거나 새로운 방식을 적용해 실험적으로 작성하는 통계로 새로운 통계 활성화를 위해 통계청이 도입했다.
한은 발표에 따르면 2018~2022년중 총본원소득(GNI) 기준 1분위 가계의 소득분위별 점유율은 코로나 기간인 2020년 이후 대체로 상승한 반면, 5분위는 하락했다. 1분위(소득 하위 20%)는 2019년 5.3%에서 2022년 6.8%로 높아졌고, 5분위(소득 상위 20%)는 동기간 44.5%에서 42.8%로 낮아졌다.
총처분가능소득(GNDI) 기준으로도 저소득 가계 소득 점유율은 대체로 상승 추세를 보였고, 5분위는 하락세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였다.
한은은 이같은 흐름을 ‘이전효과’ 영향으로 해석했다. 이전소득이 가계 소득분위간 소득격차를 축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설명이다. 1~2분위 가계는 정부로부터 기초연금 등 사회수혜금을 수취하면서 총처분가등소득 점유율이 상승한 반면, 5분위는 소득세 등 경상세 납부 등으로 하락한 것이다.
소비의 경우 2018~2022년중 1~2분위는 상승 추세를 보였고 5분위는 하락 추세를 보였다. 가계의 소득분위간 소비격차가 축소된 모습이다. 이는 코로나 유행이 시작된 2020년부터 5분위 가계의 비필수재에 대한 소비가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총저축률의 경우 2020년 모든 소득분위 가계에서 최고치를 기록한 후 점차 하락했다.
다만 한은은 가계분배계정이 불평등 지표로 활용하는 것은 어렵다고 강조했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분배계정은 가구단위로 작성돼 개인간 후생 비교 등을 위한 불평등 지표로 활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