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당은 이미 지난달 3일 각 정당과 시민사회 인사가 참여하는 ‘원샷’ 방식의 오픈프라이머리를 제안한 바 있다. 이후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석방되는 등 갑작스러운 정세 변화에 중단됐다.
|
김 권한대행은 2017년 탄핵 이후 조기대선 당시의 교훈을 떠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당시 촛불연합을 다수연합으로 전환하지 못한 것이 내란 세력의 재등장을 불러왔다”며 “이번에는 반드시 제도권으로 이어지는 연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에 결단을 촉구했다. “민주당 대선 후보를 당 내부에만 가두지 말고, 우리 모두의 헌정 수호 연합정부로 나아가야 한다”고 했다.
다만 정치권에서는 대선 일정이 60일 이내로 촉박한 데다, 이재명 대표 체제의 민주당이 오픈 프라이머리를 수용할지는 미지수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민주당 내부에서도 지지율 격차를 이유로 회의적인 반응이 나오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황현선 혁신당 사무총장은 “대선에서 승리가 예상되더라도 압도적인 승리를 위해 연대는 반드시 필요하다”며 “역대 대선에서도 단일화는 단순한 지지율 문제가 아니었다”고 반박했다.
신장식 혁신당 의원도 “2016~2017년 광장의 저항연합이 선거연합과 통치연합으로 확장되지 못한 것이 정치적 취약점으로 작용했다”며 “이번에는 저항연합이 선거와 통치를 아우르는 구조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혁신당은 민주당의 입장을 지켜본 뒤 자체 경선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황 사무총장은 “(오픈 프라이머리) 기간은 민주당 순회경선 일정에 맞춰 충분히 조정 가능하다”고 밝혔다. 만약 민주당이 명확한 거부 의사를 밝힌다면 당무위원회를 통해 독자적인 후보 경선을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오픈 프라이머리는 정당 당원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 누구나 참여해 후보자를 결정하는 완전 국민참여형 경선제다. 지난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야권을 중심으로 도입 논의가 있었으나 실제 샐행되지는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