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부터 작년까지 실질 경제성장률을 다시 추계해보니 연평균 3.6%로 종전보다 0.1%포인트 높아졌다. 대표적인 소득 분배지표, 피용자보수비율(舊 노동소득분배율)은 2022년 68%로 최고점을 찍었으나 작년 소폭 둔화됐다.
◇ 국민소득, 2005년 2만달러 찍고 9년만에 3만달러 돌파
한국은행은 5일 ‘국내총생산(GDP)’ 등 국민계정 통계 기준년을 종전 2015년에서 2020년으로 개편한 결과를 공개했다. 국민 경제의 구조 변화 등에 대응해 국민계정 통계의 현실도를 높이기 위해 5년마다 기준년을 개편하고 있다. 이번에 13번째 기준년 개편이다. 전자상거래, 1인 미디어, 요일제 가게 등 공유공간 사업체 등 누락됐던 사업체 등을 신규로 포착해 반영했다.한은은 이날 1차 개편 결과 2000~2023년 시계열을 공개하고 연말 2차 개편 결과 1953~1999년 시계열을 공개한다.
개편 결과 1인당 국민총소득이 3만달러를 달성했던 시기가 2017년에서 2014년으로 앞당겨졌다. 2005년 2만달러를 돌파한 후 9년 만에 3만달러에 진입했다. 작년 1인당 국민총소득은 3만6194달러를 기록, 개편 전(3만3745달러)보다 증가했다. 1인당 국민총소득은 2001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4.7%씩 증가했다. 가계 구매력을 보여주는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는 2023년 1만9498달러를 기록했다. 전년보다 1.0% 증가했으나 2001~2023년 연평균 4.1% 증가한 것에 비해선 증가세가 약했다.
2001~2023년까지 실질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3.6%로 개편 전(3.5%)보다 0.1%포인트 상향 수정됐다. 특히 2016~2020년 성장률이 구계열에 비해 0.2%포인트 상향됐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었던 2020년 명목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2058조원으로 구계열(1941조원)에 비해 118조원, 6.1%나 증가했지만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 0.7%로 신·구계열 모두 같았다. 2021년엔 성장률이 4.6%로 0.3%포인트나 높아졌고 2022년엔 2.7%로 0.1%포인트 상향됐다. 작년엔 1.4%로 같았다.
2001~2007년중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5.2%로 비교적 높았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08~2019년엔 3.2%, 팬데믹 이후인 2020~2023년엔 2.0%로 성장세가 낮아졌다.
◇ 피용자보수비율, 57.5%서 67.7%로 개선 추세
GDP내 생산구조는 시간이 지날수록 서비스업 비중이 커지고 있다. 2000~2023년 중 총부가가치 대비 서비스업 비중은 57.9%에서 63%로 껑충 뛰었다. 제조업 비중은 29.4%에서 27.6%로 낮아졌다. 2011년엔 31.6%를 기록했으나 대기업의 해외 공장 이전 등으로 제조업 비중은 계속 쪼그라들고 있다. 건설업은 5.7%에서 5.9%로 높아졌다.
지출구조를 보면 정부소비는 2000년 10.6%에서 작년 17.6%로 정부의 성장의존도가 점차 높아지는 모습이다. 반면 민간소비는 54.6%에서 49.9%로 줄었다. 투자를 의미하는 총고정자본형성은 31.5%에서 32.1%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설비투자 비중은 12.9%에서 9.6%로 쪼그라들었다.
소득분배 지표는 꾸준히 개선되는 추세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GNDI)에서 피용자 보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41.9%에서 작년 47.1%로 상승한 반면 영업잉여는 31%에서 22.5%로 하락했다. 피용자보수와 영업잉여를 합한 값을 피용자보수로 나눈 피용자보수비율(舊 노동소득분배율)은 2000년 57.5%를 찍은 후 꾸준히 상승, 2022년 68.0%까지 올라 최고점을 기록했다. 임금상승이 이뤄진 반면 영업잉여는 감소했던 영향이다. 작년엔 67.7%로 소폭 낮아졌다.
작년 본원소득 대비 가계소득 비중은 60.5%로 전년비 0.3%포인트 올랐으나 처분가능소득 비중은 54.9%에서 54.0%로 하락했다. 다만 조정처분가능소득 비중은 63.8%로 처분가능소득 비중보다 높았는데 이는 무상보육 등 정부 정책에 따른 것이다. 조정처분가능소득 비중도 전년(64.6%)에 비해선 하락했다.
총저축률은 작년 33.5%로 2000년(34.4)보다 낮아졌다. 가계순저축률은 2020년 11.4%까지 올랐으나 2021년 9.1%, 2022년 6.3%, 2023년 4%로 하락했다. 국내총투자율은 2013~2015년 30%대를 하회하는 낮은 수준에 머물다가 2022년 33%로 상승한 후 2023년엔 31.8%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