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엄소용 연세대 의과대 박사는 이번 사업의 긍정 정서와 관련해 △자아존중감 ‘61.0→68.9점’ △회복탄력성 ‘56.4→63.2점’ △삶의 만족도 ‘50.6→62.3점’ 등으로 증가해 공공 정신건강 서비스분야에서 유의미한 수치 변화로 보였다고 평가했다. 또 △우울감 ‘55.4→45.3점’ △불안감 ‘55.1→44.6점’ △스트레스 ‘65.5→58.2점’ △외로움 ‘63.0→55.4점’ 등 부정 정서는 사업 참여 이후 감소했다.
서울시는 2023년 처음으로 상담이 종료된 참여자에 대한 ‘장기 추적 조사’도 실시했다. 이를 위해 상반기 참여자 510명을 대상으로 상담 종료 직후와 3개월 후의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우울감, 불안감을 비교했다. 그 결과 △자아존중감 ‘68.2→68.0점’ △회복탄력성 ‘63.3→62.9점’ △우울감 ‘45.3→46.4점’ △불안감 ‘44.4→45.2점’ 등으로 상담 종료 후에도 긍정 정서 향상 및 부정 정서 감소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2023년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참가자들의 프로그램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고 전했다. 사업 전반에 대해 91.4%가 만족했고, 92.6%가 다른 사람에게 추천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상담사에 대한 만족도가 91.9%로 가장 높았고, 상담 효과가 88.3%, 프로그램 진행 안내 85.6% 등이 뒤를 이었다.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장은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의 높은 호응과 성과는 정확한 데이터 분석과 계량화, 유형별 체계적 분류와 이에 따른 맞춤형 지원에 있다”며 “청년 당사자와 전문가, 상담 파트너의 현장의견을 계속 수렴하여 고도화됐기에 가능한 결실”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