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의령군, 미래교육원 연계 사업에 지역 활력도 되찾아

박태진 기자I 2025.03.27 05:00:00

■지방소멸대응기금 우수 지자체 ②경남 의령군
AI·VR 교육체험시설 유치로 반전 계기 마련
곤충생태학습관 증축에 연 관람객수 12만명
“생활인구 유입, 일자리지역경제에 큰 도움”
향후 의료·교통·교육·문화여건 개선에 기금 투입

저출생·고령화로 대한민국은 지방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데일리는 행정안전부가 2022년 도입한 지방소멸대응기금을 잘 활용하고 있는 전국 주요 시·군을 찾아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어떤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는지 점검해봤습니다. 소멸 위기를 극복한 모범사례를 통해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편집자 주>
2023년 8월 경남 의령군에 문을 연 미래교육원 전경. (사진=의령군)
[의령(경남)=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미래교육원과 상생협력으로 지역의 활기를 되찾다.

◇ 식당·체험시설과 협약…매출도 ‘껑충’

경남 의령군은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한 우수 지방자치단체 중 한 곳이다. 인구수 2만5000명 남짓한 이 지자체는 초고령화지역으로 지역활력이 부족했으나 경남도교육청이 경남에 전국 최초 로봇,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등의 교육체험시설인 미래교육원을 2019년 2월 유치하면서 반전의 계기를 마련했다.

2023년 8월 문을 연 미래교육원은 사업비 총 653억원이 투입돼 지상 3층(연면적 1만4145㎡) 규모로 창의융합 놀이터, 미래교육 전시체험관 등을 갖추고 있다. 하루 1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경남도교육청에서 나온 62명의 교직원과 60명의 강사가 근무중인데 강사의 경우 의령군민 우선 채용 혜택으로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

이 시설은 지역 연계 협약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방점을 두고 있다. 예컨대 지역업소 이용을 목적으로 시설 내 식당 미설치를 한 것이다. 현재 30개 식당과는 중식 제공을, 30개 업체와는 각종 체험 프로그램 관련 협약을 맺은 상태다.

식당과 체험 프로그램을 실시한 사업자의 실적도 개선됐다. 2023년의 경우 지역 식당은 평균 단가 8000원 기준 전년 대비 3억1022만원의 매출이 증가했고 체험 프로그램 기관도 체험비를 1만원으로 산정했을시 같은 기간 동안 3억6390만원의 매출이 늘어났다. 특히 체험 프로그램 대표 기관인 곤충생태학습관에는 2023년 12만8000명의 관람객이 다녀갔다. 의령군은 곤충생태학습관 확장사업(2022~2025년 3월 완료)에 지방소멸대응기금 20억원을 투입해 생태 유리온실 및 전시관을 증축했다.

박장우 의령곤충생태학습관장은 “유리온실을 증축하고 전시관을 리모델링하면서 관람객들이 분산돼 쾌적한 환경에서 생태체험을 할 수 있게 됐다”면서 “지난 주말 2000명이 다녀갔는데, 3000명까지 수용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올해는 12만명이 다녀갈 것으로 예상되며 내년에는 15만명, 이후에는 연 최대 25만명도 방문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의령군 내 지방소멸대응기금이 투입된 체험시설은 농경문화 체험관, 의병놀이파크가 있다. 또 권역의 재발견 프로젝트(미래교육원 연계 방문객 숙박시설 보완), 꿈나르미 키즈아카데미(미래교육원 연계 육아센터 증축 및 영유아 전문강좌 개설)에도 기금이 투입됐다. 의령군은 현재 방치된 군부대 부지를 활용해 150명 수용이 가능한 의령 유스호스텔(지상 4층, 객실수 37실) 건립도 추진중이다. 아울러 캠핑장 및 편의시설을 조성하는 남강변 캠핑특구 노마드랜드 조성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미래교육원과 상생협력으로 의령군 활기를 되찾은 사례는 행정안전부가 주최한 ‘2023년 지자체 인구감소 대응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행안부 장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개원 두 달 만에 의령에 머무르는 체류인구가 정주 인구의 두 배를 넘었고 지난해 기준 미래교육원을 찾은 방문객은 17만명을 넘어섰다. 개원 이후 지난해 말까지 누적 방문객은 26만명에 이른다.

지방소멸대응기금으로 올해 새단장한 곤충생태학습관에 어린이 관람객들이 찾아와 각종 곤충, 동물들을 구경하고 있다. (사진=의령군)
◇기금 사용 기준 완화 절실…굵직한 사업에 정부도 나서야

의령군은 지방소멸대응기금사업으로 지역자원을 활용한 생활인구(정주인구와 하루 3시간 이상 체류하는 인구, 등록외국인 포함) 유입, 일자리, 교육, 교통 등 정주여건 개선으로 정주인구를 지원하는 투트랙 전략을 펼치고 있다. 시행 첫해인 2022년부터 2023년까지는 생활인구 유입에 집중 투입하고 지난해와 올해는 생활인구 유입과 함께 정주인구의 일자리, 주거여건 개선에 집중하고 있다.

의령군 관계자는 “인구감소 지역에서는 생활인구가 유입되면 일자리는 물론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는 등 정주인구에도 상당한 도움이 돼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고 강조했다.

의령군은 향후 장기적으로는 정주인구의 일자리, 주거, 교육, 교통 등 정주여건 개선에 방점을 두고 기금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물론 미래교육원과 연계한 지방소멸대응기금사업을 활용할 수 있는 지역 연계 복합관광, 체류 프로그램도 개발해 운영할 방침이다.

다만 지방소멸대응기금이 빛을 발하기 위해서는 사용 제한 규제 완화와 중앙정부의 도움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의령군 관계자는 “사업부지 매입과 시설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초기 시설 운영에 필요한 인건비에도 기금을 사용할 수 있게 규제를 풀어줬으면 좋겠다”며 “또 지방소멸을 막기 위해 필요한 의료, 교통, 교육 등 굵직한 사업의 경우 중앙정부가 함께 추진하는 방안도 논의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