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척추측만증은 성장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심장, 폐, 목, 골반 등 다양한 장기 및 관절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별다른 통증이 느껴지지 않아 방치한다면, 측만 정도가 점점 심해져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 대부분 성장기에 이유없이 발병
척추는 골반, 늑골, 날개뼈나 어깨 등 여러 관절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돼있어 척추가 틀어지면 전신의 불균형으로 이어진다. 허리와 골반이 틀어지고, 좌우 어깨 높이가 달라지면서 가슴 한쪽이 돌출되는 증상이 나타는 것이 대표적이다. 변형이 심할 경우 주위 장기를 압박하거나 기능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문제는 척추측만증 대부분은 성장기에 특별한 질환 없이 발병되는, 이른바 특발성이 85% 이상의 비율을 차지한다는 점이다. 반척추 등 선천적인 척추 기형이나 신경근육병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비율이 높지는 않다.
◇ 측만각 커질수록 치료 어려워져
이렇게 척추측만증이 진행되며 측만각이 커질수록 치료 난이도가 상승한다. 척추측만증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보존적 치료는 척추 측만각이 40도 미만일 때 운동치료를 하거나 보조기를 사용한다. 이후 청소년의 골격 성장이 끝난 시점에서 측만각을 확인하고 정기적으로 추적 관찰하며 경과를 확인하는 식으로 이뤄진다.
반면, 척추가 40~50도 이상으로 틀어진 경우에는 자연치료가 어렵고 시간 경과에 따라 측만 정도가 심해지기 때문에 교정수술이 필요하다. 변형된 척추 마디에 나사를 삽입하고 각 나사에 금속봉을 이어 척추가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3시간에서 6시간 소요되는 큰 수술이다.
수술적 치료는 환자의 부담이 크고, 척추유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되지 않은 남은 척추 마디만 사용하기 때문에 추간판(디스크)의 퇴행성 변성이 빨라질 수 있다. 따라서 수술하는 척추 범위를 줄인다면 수술 부담은 줄고 일상생활을 영위하기에 매우 유리한 조건이 된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현승재 교수는 “수술범위를 가능하다면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수술로 고정된 뼈는 더 이상 자라지 않고, 움직임이 제한되기 때문에 성장판이 열린 정도나 초경 시기 등을 고려해 수술을 미루며 최대한 척추가 성장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줘야 한다. 때문에 성장기 아이들의 경우 보조기 등을 사용하다가, 성장이 멈추거나 성장 속도가 느려진 이후에 수술하는 방식으로 치료하는 경우도 많다.
◇척추펴는데만 집중했던 과거 치료법 벗어나
결국 척추측만증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변형각이 심해지기 전 조기진단을 하는 것이다. 특히 청소년은 빠르게 성장하기 때문에 병원을 오는 시기가 매우 중요하다. 조기진단을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병원에 방문해 검사를 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이때는 가정에서 자녀의 등을 주기적으로 쓰다듬으며 확인하는 것을 추천한다.
아이가 긴장을 풀고 바로 선 상태에서 허리를 숙이게 한 다음에 등을 쓰다듬으면 양쪽 갈비뼈의 모양을 느낄 수 있는데, 이때 척추측만증이면 한쪽 갈비뼈가 돌출돼 있거나, 척추의 위치가 중심에서 크게 벗어나 있는 것이 육안으로 보인다. 한 달에 한 번씩만 해도 아주 유용한 진단법이다. 이외에도 아이의 어깨 높이가 대칭인지, 한쪽으로 갈비뼈나 가슴이 돌출되지는 않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부모가 조금 더 주의를 기울인다면 얼마든지 조기에 찾아낼 수 있다.
현승재 교수는 “과거 척추측만증은 단순히 척추를 완전히 펴는 데 집중했다. 이에 따라 수술로 고정하는 범위가 커 척추의 가동성이 크게 제한된 상태로 오랜 기간 지내야 했으며, 후유증도 적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척추 고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례로 현승재 교수 연구팀에서는 1~2 마디를 덜 고정할 수 있는 진단법을 고안해 국제 SCI 학술지에 발표했고, 외국에서도 배우러 올 정도로 국제적인 치료법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허리뼈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관절이 총 5마디인 것을 고려하면, 치료 범위를 1~2마디 줄이는 것은 과거에 비해 정말로 획기적인 발전이라고 할 수 있다. 현승재 교수는 “치료 과정을 두려워하지 말고 측만증 전문의와 상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