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대체주자 찾는 K바이오백신펀드, 유인책 마련에 ‘고심’

지영의 기자I 2023.08.03 09:38:48

8월 2주 中 대체 운용사 모집 공고 예정
모집 방식 대폭 변경...마지막까지 ‘고심’
지원 머뭇대는 투자업계
“펀딩 실패하면 낙인 효과, 인센티브 더 있어야”

[이데일리 지영의 기자]정부가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해 추진하는 K-바이오백신펀드의 좌초를 막기 위해 펀드 결성 여건을 대폭 개선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내주 중 관련 업계 의견을 기반으로 개선안을 마무리하고 새 운용사를 찾을 계획이다. 그러나 투자업계에서는 펀딩에 실패해 징계 대상이 된 미래에셋벤처투자(100790) 사례를 우려해 지원을 머뭇거리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 바이오 투자 범주 유연화·멀티클로징…2~3개사 나눠 선정 가닥


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정부는 이르면 내주 후반 K-바이오백신펀드 위탁 운용사(GP) 선정 공고를 낼 계획이다. 내주 중 회의를 열고 국책은행과 펀드 조성 관련 개편안을 최종 결정할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달 25일에는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 주재로 제약·바이오 업계 및 관련 투자 전문가들을 자문회의 형태로 소집해 의견 수렴도 마쳤다. 회의에서 전문가들이 제시한 개편 방향에 대한 의견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반영할 예정이다.

K-바이오백신펀드 조성은 윤석열 정부의 유망 산업 육성을 위한 핵심 정책사업 중 하나다. 복지부는 바이오 헬스 산업을 전략적으로 키우겠다는 정부 방향에 발 맞춰 지난해 K-바이오백신펀드를 포함한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방안’을 발표했다. 정부와 민간이 40대 60의 비율로 출자금을 매칭해 총 5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구성한다는 계획이었다. 지난해 9월 중 미래에셋벤처투자(100790)(미래에셋캐피탈 CO-GP)와 유안타인베스트먼트 2개사를 GP로 선정해 운용 지위를 맡긴 상태였다. 그러나 미래에셋벤처가 투자심리 위축으로 투자금 모집에 고전하다 GP 자격을 반납하면서 2500억원의 펀드 결성을 책임질 GP 자리가 공석이 됐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정부는 GP들의 펀드 결성을 지원하기 위해 △펀드 규모 △결성방식 △주목적 투자범위 등을 대폭 조정할 전망이다. 고금리 여파 등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된 시장에서 자금 모으기가 녹록치 않다는 점을 감안한 조치다. 현재 규모 면에서는 기존 2500억 펀드를 쪼개 2~3개 GP에게 나눠 맡기는 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기존안에 따르면 GP 한 곳이 2500억 중 정부 및 국책은행 출자금 1000억을 제외한 1500억을 민간에서 모집해야 했다.

새 GP들의 펀드 결성방식도 멀티클로징(기존 펀드 추가 증액) 형태로 확정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자금 모집에 나선 유안타인베도 기한내 2500억을 달성하지 못해 멀티클로징 방식으로 추가 자금을 모아나가는 방식으로 진행 중이다.

또 펀드의 주목적 투자 범위 면에서도 조건을 완화할 계획이다. 기존 투자 조건에는 임상시험 계획 승인을 받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에 60%, 백신 관련 기업에 15%를 투자하도록 규정한 상태였다. 해당 조건을 일부 수정,

복지부 관계자는 “현재는 대체로 유력하게 검토 중인 안들이지만 이 범주 안에서 확정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투자 목적 범위 자체를 대폭 완화하는 데 방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 “미래에셋벤처 처지 될라”...망설이는 GP들

정부가 K-바이오백신펀드 조성을 위해 펀드 결성 여건을 대폭 개선하겠다고 나섰으나 투자업계에서는 지원을 망설이는 분위기다. 시장에 전반적으로 투자가 감소해 일반 블라인드 펀드 자금 모으기도 쉽지 않은 여건이어서다. 바이오 투자 부문에 대한 투심은 더 부정적이다. 여기에 미래에셋벤처 측이 펀드 모집에 고전하다 끝내 징계 대상이 된 점도 지원을 망설이게 하는 요인 중 하나다.

한 VC 관계자는 “다음 GP에 대한 시장 이목도 너무 쏠려있고, 펀딩 실패하면 낙인효과가 클 것이라는 점에서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기한을 더 준다고 해도 만약 실패할 경우 정부 출자사업 지원 제한 불이익만 받게 되지 않나”라고 전했다.

시장 여건이 어려운 점을 감안하면 펀드 결성과 운용에 나서는 GP에게 추가 유인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한 투자업계 고위 책임자는 “전략적인 인센티브 제시도 필요하다고 본다. 바이오 투자의 어려움을 감안해서 펀드 내에서 투자 부문별 차등 보수를 지급하는 방식도 고려해볼만 하다. 바이오 부문 회수 실적에 더 높은 보수를 책정해 유인을 높이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