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세계는 지금](2)러시아의 ‘디지털 경제’ 정책 엿보기

김영수 기자I 2020.04.04 09:13:13
[편집자주] 이데일리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와 공동으로 세계 주요 국가들에 주재하고 있는 무역관장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해당 국가의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소식을 전달하고자 합니다. 해외 진출을 모색하는 국내 기업인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세계는 지금’ 연중기획은 올해 말까지 격주로 연재됩니다.


모스크바 시티 전경. (사진=Archdaily)


[최진형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차장] 2018년 러시아 월드컵을 통해서 발전된 러시아의 모습을 전 세계인들이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지만 아직도 ‘러시아’라고 하면 크렘린궁전, 붉은 광장, 백조의 호수 등을 연상하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것 같다. 모두 러시아의 모습이지만 오늘은 ‘디지털 러시아’를 바라보고자 한다.

맥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모스크바는 2018년부터 이미 30~40% 이상의 시민이 스마트 솔루션을 이용하는 뉴욕, 싱가포르, 홍콩, 두바이와 비슷한 수준의 세계 최고의 스마트 시티라고 한다. 이러한 배경에는 러시아의 ‘디지털 경제’ 정책이 큰 몫을 하고 있다.

러시아 정부는 2017년에 ‘러시아 연방 정보사회 발전 전략 2017~2030’을 수립하면서 ‘디지털 경제(Digital Economy)’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했다. 러시아가 말하는 ‘디지털 경제’란 상품과 서비스의 생산과 운송, 저장, 판매 등의 전 과정을 디지털 데이터 처리 기술을 통해 최적화하고 효율화하는 것이다.

이 정책에 따른 ‘디지털 경제’ 프로그램은 2018년 10월부터 진행되고 있으며 규제 정비, 인적자원 확보 및 교육, R&D, 정보기반시설 구축, 정보보안 강화 등이 기본방향이다. 이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해 연방 언론통신부는 2017년 3월부터 IWG(Inter-agency Working Group)를 구성했으며 18억 달러의 예산도 확보했다. IWG는 9개의 서브 프로그램 중 스마트 시티, 스마트 헬스케어, 디지털 인프라 프로젝트를 가장 앞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 정부의 ‘디지털화’를 위한 정책은 처음이 아니다. 지금의 러시아 ‘디지털 경제’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전자 러시아(Electronic Russia)프로젝트(2002~2010년) △정보사회 프로그램 2011~2020 △국가 기술 이니셔티브(National Technology Initiative) 2016 등 그동안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디지털화를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었다. 전략, 프로젝트, 프로그램, 이니셔티브 등 이름은 달리 했지만 경제발전의 궁극적 방향은 항상 ‘디지털화’이었다.

모스크바 스마트시티 엑스포 2018. (사진=mkexpo)
연방 언론통신부에 따르면 러시아 ‘디지털 경제’ 실현을 위해서는 적어도 89억 달러 자본이 필요하다고 한다. 2018년 러시아 대통령 국정연설을 통해 발표한 ‘국가 프로젝트’에서 ‘디지털 경제 2019~2024’ 프로그램을 위한 예산은 1조 루블(약 170억 달러)이며 연방 정부가 대부분 부담하고 민자 또는 지방 자치 정부를 통해 5353억 루블(약 82억 달러)을 확보할 예정이다. 아직 진행형이기 때문에 이러한 어마어마한 예산이 실제로 확보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지만 러시아 정부가 얼마나 ‘디지털 경제’ 실현을 열망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우리 무역관에서도 우리 기업인들에게 △스마트팜 △5G 시장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시티 △스마트 헬스 △IoT 시장 △무인자동차 및 자율운행 △블록체인 등과 같은 러시아의 디지털화 트렌드를 집중적으로 알리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우리 무역관을 찾는 많은 러시아 정부 관계자와 기업인들은 우리 기업들의 우수한 기술력을 높이 평가하고 러시아의 디지털 경제 발전에 일조해 주길 희망하고 있다. 이제 ‘디지털 러시아’에 조금 더 관심을 가져 보면 어떨까.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