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식 회장은 20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 호텔에서 출입기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회계현안 세미나에서 “회계업계는 기업뿐 아니라 비영리 분야에서도 회계 투명성에는 한 치의 양보도 없다는 확고한 자세로, 감사 품질을 제고하는데 부단히 노력함으로써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
앞서 금융위는 지난 11일 ‘주요 회계제도 보완방안’을 발표하고 연내에 외부감사법 및 시행령 개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보완 방안에는 △내부회계관리제도 외부감사 부담 완화 △상장회사 감사인 지정비율 적정화 △표준감사시간 적용 유연화 등이 담겼다. 특히 내부회계관리제도 완화 방안의 경우 자산 2조원 미만 중소형 상장사는 연결기준 내부회계관리제도 외부감사 도입 시기를 5년 유예(2024년→2029년)하기로 했다.
관련해 김 회장은 “이번 금융당국의 보완 방안은 회계개혁의 안착에 중점을 두면서 기업 부담을 합리적인 수준에서 완화하는 방안을 찾기 위해 고심을 거듭한 결과로 이해하고 있다”면서 “다만 기업 부담을 고려한 완화 조치가 자칫 우리 자본시장의 투명성에 부정적 신호를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있기도 하다”고 전했다.
김 회장은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국가경쟁력 순위가 발표됐으며, 회계투명성 순위는 47위로 소폭 상승했다”며 “회계개혁 이전 매년 최하위에 머무르던 상태를 벗어났지만, 아직은 갈 길이 멀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김 회장은 “최근 몇 년간 상승한 감사 보수에 대해 일부 비판적 시각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러나 금융당국에서 밝혔듯이 현재 감사보수 수준의 적정성에 대해서는 다양한 시각이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김 회장은 “그러나 기업 입장에서 부담이 증가한 것도 사실”이라며 “앞으로 기업들이 감사보수가 충분히 지불할 가치가 있다고 느낄 만큼 회계 및 감사서비스의 품질을 높여가는 것이 선결 과제”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김 회장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서비스에 대해 “감사의 효율과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됐다”면서도 “풀어야 할 여러 숙제가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김 회장은 “새로운 기술은 글로벌 대형 회계법인에 편중돼 있고 여전히 글로벌 법인의 전유물이라는 인식이 강하다”며 “데이터 보안에 대한 우려 등 새로운 기술을 바라보는 부정적 시선 때문에 감사 현장에서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기도 하다”고 전했다.
김 회장은 “이러한 난관을 극복하려면 감사인 스스로 기술 변화에 대비해야 할 뿐만 아니라 기업, 투자자, 감독당국 등 이해관계자 모두가 새로운 기술에 대한 인식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회장은 “이를 위한 첫걸음으로 공인회계사회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기술 혁신 그룹(Technology Innovation Group)을 구성하고 얼마 전 활동을 시작했다”며 “공인회계사회에서도 감사인의 역량 강화와 이해관계자들의 인식 전환을 위해 인프라 개선과 실무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자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