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필패 리스크’ 관리 성공할까?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와 격차를 벌리며 1위에 여유를 갖게 된 문재인 후보는 필승 카드를 찾기보다는 필패 리스크 관리에 들어갔다. ‘대세론’을 유지하기 위해 수성 전략을 펼치고 있다. 2012년 대선에 이은 재수생으로서 사실상 5년간의 검증을 받아온 문 후보다. 다른 후보들의 공세가 지난 대선 의혹 되풀이에 그치면서 이렇다할 타격을 주지 못하고 있다. 내부 단속으로 보다 힘을 기울이는 이유다.
|
문 후보 스스로의 말실수도 삼가해야할 부분이다. 언변이 유려하지 않은 문 후보는 대선 토론회 과정에서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의 질문 공세에 실언을 한 바 있다. “동성애를 반대한다”는 발언으로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에게 비판을 받는 한편 유세지역마다 동성애자들로부터 항의를 받았다.
지난 17대 총선에서 정동영 당시 의장이 “노인 분들은 투표 안 하고 집에서 쉬셔도 된다”는 말로 정치 활동 내내 멍에를 뒤집어 썼다. 안 후보 역시 “단설 유치원을 줄이겠다”는 공약을 공개했다가 젊은 학부모들의 차가운 외면을 받았다. 문 후보가 특정 계층이 반응할 만한 실언을 한다면 지지율이 요동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민주당 선대위 관계자는 “문 후보에 대한 공세가 의혹 제기 수준에 그치고 있다. 사실상 문 후보 검증은 지난 대선을 거치면서 끝났다”고 자신하면서 “내부적으로 돌발 변수를 줄이고 다른 후보들간 단일화 등 외부 변수도 예의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동개혁정부+임기단축 개헌 카드의 파괴력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는 사실상 대연정인 개혁공동정부 카드를 내놓았다.
|
박근혜 정부 산파역을 맡고 지난해 총선에서 민주당을 제1당으로 만든 김 전 대표가 이번에는 안 후보를 선택한 것이다. 김 전 대표는 30일 서울 여의도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개혁정부는 모든 정파를 아우르는 것이다. 어디를 특별하게 배제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2018년 중 헌법 개정을 완료해 2020년 제7공화국을 출범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대표가 위원장을 맡은 개혁공동정부 준비위가 8일 남은 대선에서 안 후보의 지지율을 끌어올리고 흩어진 중도보수층 표심을 되돌릴 수 있을까. 가능성은 반반이다. 김 전 대표와 개혁공동정부 준비위가 국정운영 능력이 없다는 문 후보의 공세를 막아내고 수권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유효한 카드인 것은 맞다.
하지만 유동적인 표심을 돌리기에는 2%가 부족하다. 중도보수층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사태로 드러난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를 극복하고 보수 진보정당이 공정한 환경에서 정권창출에 도전하는 것을 원하고 있다. 안 후보가 시사한 임기단축 개헌안이 주목받는 이유이다.국회 결정에 따르겠다고 한 안 후보가 아예 임기를 5년에서 3년으로 줄이는 임기단축 개헌안을 공언하고 나설 수 있다. 2020년 치러지는 국회의원 총선거와 대선을 일치시키면 보수정당은 3년 만에 다시 한번 정권창출에 도전할 수 있게 된다.
◇보수표의 종착지는?
차기 대선 최대 관전 포인트 중 하나는 보수층 표심이 막판 누구를 지지할지 여부다. 주요 5당 대선후보 TV토론을 거치면서 문재인 vs 안철수 양강구도는 사실상 붕괴됐다. 카운트다운을 시작한 대선전은 1강(문재인, 40% 안팎) 2중(안철수·홍준표, 20% 안팎) 구도로 재편되면서 보수층 표심의 향배가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
보수층 표심은 현재 안철수·홍준표 후보로 양분된 상태다. 이대로 가면 대선승리를 헌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최대 변수는 역시 반(反)문재인 3자 단일화다. 물론 안철수·홍준표·유승민 후보 모두 대선완주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다만 3자 단일화 없이 문재인 후보를 꺾는다는 게 현실적으로 어려운 만큼 극적으로 성사될 경우 막판 구도를 요동치게 만들 수 있다. 이른바 숨어있는 거대한 ‘샤이 보수층’의 움직임에 따라 대선판이 또다시 출렁일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김동영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기획실장은 “최대 변수는 반(反)문재인 단일화에 따른 보수층 결집 현상”이라면서 “5월 4일 사전투표 이전까지 극적으로 성사될 경우 보수층이 결집해 문재인 대세론을 흔들 수 있다. 다만 단일화 시너지 효과가 크지 않다면 낙관하기 어렵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