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모빌리티 유승일 CTO는 2022년 자사의 첫 테크 컨퍼런스 NEMO 2022에서 2022년을 ‘디지털 트윈 제작의 원년’으로 삼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현실 세계와 그 안의 움직임들을 AI가 이해할 수 있게 만들고 이러한 데이터와 정보들을 다양한 파트너사의 AI에도 제공해 모빌리티 기술 생태계 구성과 그 이후를 함께 만들어나가겠다는 것이다.
올해 9월 열린 NEMO 2023에서는 카카오모빌리티가 보유하고 있는 AI 기술과 플랫폼의 결합을 기반으로 한 ‘모빌리티 특화 생성형 AI 엔진’ 개발 계획을 발표하며 주목받았다. 유 CTO는 ‘우리의 세상을 이해하는 AI’라는 기술 목표를 공유하며, 국내 모빌리티 산업의 세계화를 이끌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디지털 트윈 기술의 근간이 되는 고정밀지도 구축 기술 확보에 적극 투자해왔다. 인간이 접하는 실세계와 동일한 공간을 디지털 환경에 구축하여 가상의 공간을 만드는 ‘디지털 트윈’은 AI가 우리의 세상을 이해하는 창구가 되는데, 고정밀지도는 AI를 위한 내비게이션 지도의 역할을 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미래의 다양한 모빌리티를 위한 디지털트윈을 구축하기 위해 2021년 HD맵 기술 선도 업체 ‘스트리스(Stryx)‘를 전격 인수했다. 스트리스는 측량, 측위, 전기전자, 로보틱스, 컴퓨터비전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2017년 창업한 기술 스타트업이다. 도로 정보 수집을 비롯해 정보 가공 및 정합, 고정밀 지도 도화, 사용 형태별 맞춤형 최적화에 이르는 고정밀 지도 구축의 전 과정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미래 모빌리티 전초기지 ‘미래이동연구소’·‘네모개러지’
이러한 역량을 모두 갖춘 기업은 세계적으로도 드물며, 스트리스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주요 정부기관, 대기업과 협업하며 국내 HD맵 구축 분야 최다 실적을 쌓아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사내에 ‘미래이동연구소’를 신설했다. 미래이동연구소는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혁신 기술을 고도화하고 연관 기술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하는 미래 모빌리티 전담 조직이다.
올해 1월엔 자율주행 이동체 연구 및 디지털트윈 구축에 필요한 하드웨어 연구 설비 및 인력을 한 데 모아 ‘네모개러지‘를 개소했다. 미래모빌리티 기술에 특화된 자율주행 및 디지털트윈 전용 연구소를 확보한 것은 카카오모빌리티가 플랫폼 업계 최초로, 카카오모빌리티의 연구 영역을 기존 플랫폼 기술 개발에서 미래 이동체와 인프라 등의 하드웨어 개발로까지 확대하는 디딤돌이 됐다.
네모개러지는 이동의 혁신을 이루기 위한 ‘미래 모빌리티 엔드투엔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고정밀지도 구축을 위한 MMS(모바일 맵핑 시스템) 장비 ‘아르고스(ARGOS)’를 필요한 환경별로 최적화해 자체 제작할 수 있는 하드웨어 제작 역량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파트너와의 협력을 확대하고 디지털트윈 생태계 확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모빌리티를 위한 디지털 트윈이란 자율주행, 배송로봇, UAM 등 이동체를 위한 데이터 구축을 의미하며 대체로 실외나 주행경로 데이터에 해당한다. 실제 위치와 광범위한 규모를 가지는 모빌리티 디지털트윈은 데이터의 연결성과 확장성이 요구되며 고정밀 센서 퓨전 기술이 필요한데, 현재 카카오모빌리티가 보유한 기술 수준은 실내외 디지털 트윈의 구현이 모두 가능한 수준을 갖추고 있다.
◇영세 주선사업자 돕고자 물류업계와도 협력…미들마일 고도화도 나서
카카오모빌리티는 아울러 모빌리티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모빌리티 기반 기술 마련을 위한 국책 과제에도 참여하고 있다. 2020년에는 ‘V2X 기반 화물차 군집주행 운영기술 개발’ 국책 과제 연구 실증에 참여해 ‘대형 화물차 군집주행을 위한 운영서비스 플랫폼 기술‘을 시연한 바 있다.
군집주행은 대형 화물차 여러 대가 무리를 지어 자율협력주행기술로 이동하는 기술로, 운전을 담당하는 선두 차량을 중심으로 다른 차량들이 플랫폼을 통해 합류해 서로 통신하며 자율주행으로 이동할 수 있다. 대열 운행으로 공기저항이 감소해 차량 연비를 개선할 수 있고, 화물차 운전자의 피로도를 줄여 사고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운영서비스 플랫폼에 사용된 기술 중 실시간 교통 상황에 맞춰 최적의 군집 합류지점을 찾아 주는 ‘다이내믹 랠리 포인트 결정 기술’과 ‘AI 기반 군집 매칭 기술‘ 등 4건의 자율주행 플랫폼 기술을 특허 출원하기도 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사람의 이동’에서 ‘사물의 이동’으로 영역을 확장해 나가면서 플랫폼 운영 경험과 모빌리티 기술을 통해 물류시장의 비효율을 해소하는데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 오랜 시간 고민해 왔다.
2022년에 ‘전국화물자동차운송주선사업연합회(주선연합회)’와 업무협약을 맺고 영세 중소 주선사를 포함한 기존 주선 산업 인프라를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디지털 물류 생태계 조성 방안을 논의해 왔다. 그 결과로 주선사업연합회와 함께 주선사연합회가 운영하던 화물정보망 ‘화물마당‘을 고도화해 영세 주선사들의 업무 효율화를 돕는 ‘로지노트 플러스’를 선보인데 이어, 최근에는 화물 기사의 운송 업무 효율화를 돕는 ‘카카오 T 트럭커’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중간물류 시장에 AI를 포함한 ICT 기술의 도입으로 디지털 전환(DX)을 앞당겨 업계 활성화에 기여하는 한편, 주선사업연합회와 함께 물류 업계-IT 플랫폼 간의 지속적으로 협력 가능한 모델을 구축해 영세사업자들의 업무 환경 개선 및 시장 활성화에 힘쓸 예정이다. 특히, 데이터 분석 기반의 AI 배차 및 운임 가이드는 물론, 내비게이션, 라우팅, TMS, 군집주행 등 카카오모빌리티의 독보적인 모빌리티 기술력은 미들마일 시장의 업무 효율을 크게 증대시킬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