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중(親中)과 지중(知中)은 다르다 [생생확대경]

이명철 기자I 2024.02.15 06:00:00

반중 정서 심한 사이 무섭게 발전하는 중국
제조업·IT 분야 한국 추격, 큰 경쟁자 될 수도
中 연구 강화 의지 안보여, 철저한 대비 필요

[베이징=이데일리 이명철 특파원] 지난해 베이징 특파원에 지원한 후 “왜 중국에 가려고 하냐”란 질문을 많이 받았다. 한국과 중국간 사이가 예전만큼 좋지 않아 소위 ‘기삿거리’가 없다는 게 이유지만 왜 하필 중국으로 가냐는 걱정이 담긴 것이라고 짐작이 간다.

중국의 옌타이 항에 수출을 위한 전기차들이 선적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APF)


한국에서 중국에 대한 이미지는 좋지 않다. 중국은 전세계를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몰아 넣은 코로나19 발원지이며 ‘알몸 김치’ ‘소변 맥주’ 같은 위생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치안이 좋진 않겠다는 막연한 두려움도 있다.

경제나 정치 분야 또는 단순 가십이어도 중국과 관련한 기사를 쓰면 댓글을 통한 반응도 비난 일색이다. 싫어하는 중국 관련 소식 따윈 알고 싶지 않다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주변에서는 ‘베이징 특파원은 의례적으로 친중(親中) 인사로 묶인다’는 자조 섞인 농담들도 들린다.

짧은 중국 생활에서 느낀 점은 ‘우리가 중국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그동안 너무 몰랐던 건 아닐까’ 하는 걱정이다. 중국 산업의 발전 속도는 우리를 위협할, 아니 어떤 분야는 이미 추월했을 만큼 가파르다.

중국은 우리보다 산업 생태계 전환을 위한 의사결정이 빠르다. 당과 정부의 결정이 인민의 뜻이니, 일단 정책을 결정하면 반대 입장이 있을 수 없기 때문이리라. 정책을 하나 세우면 기본 계획만 10년이 될 정도다.

우리가 내연기관차를 통해 전세계로 진출하며 이름을 떨치고 있을 때 중국은 전기차 산업 생태계를 만들고 있었다. 지금 중국에서는 수많은 자국 브랜드의 전기차들이 거리를 다니고 있다. 중국 전기차 제조사 BYD(비야디) 판매량이 미국의 테슬라를 앞질렀다는 말이 과언이 아닐 정도다.

한국의 결제 환경이 신용카드 중심으로 이뤄졌다면 중국은 아예 스마트폰 앱인 웨이신(위챗)이나 즈푸바오(알리페이)를 통한 핀테크 강화에 주력했다.

우리가 핀테크 업체 업무를 어디까지 늘리느냐, 타다 택시를 허용하느냐 마느냐 등을 두고 다투는 사이 중국은 일찌감치 앱 하나로 거의 모든 상점 결제부터 교통·숙박 예약, 자금 이체, 심지어 가스·전기요금 수납까지 모두 가능한 환경을 만들었다.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 경제는 반도체처럼 부가가치가 높은 첨단 기술을 통한 성장을 이뤄왔다. 건설, 조선은 물론 디스플레이 등 기존에 우리가 주도권을 쥐고 있던 산업은 이미 중국이 무섭게 발전하며 잠식하고 있다.

미국의 강도 높은 견제에도 고사양의 반도체 칩을 생산했다는 소식을 알려 미국을 당황시키기도 했다. 한국 수출의 충실한 고객이었던 중국이 이제는 우리를 위협할 장사꾼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의미다. 중국이 수출 확대를 천명한 전기차가 그렇고 이미 한국에서도 이용자가 급증하는 알리바바·테무(전자상거래 플랫폼)가 그렇다.

옆에서 가장 큰 경쟁자가 무럭무럭 자라고 있지만 여전히 우리는 반중 정서에 매여있는 듯 하다. 최근 들어 중국에 위치한 연구기관이나 한국 내 중국 관련 연구는 예산이 깎였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중국에서 만난 한 연구원은 “중국 경제 동향을 파악할 사람들이 더 필요하지만 젊은 전문가들을 찾기 힘들다”고 하소연하기도 했다.

구태여 중국을 좋아할 이유는 없다. 한국과 중국은 정치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에서 다른 점이 많은 게 사실이다. 이러한 이질감이 누군가에겐 불편함일 수 있을 테다.

그렇다고 ‘중국이 싫으니 중국에 대해선 알 필요 없어’란 논리가 정당화될 수는 없다. 중국에 산업계 주도권을 넘겨놓고 “이렇게 될 줄 몰랐지”라고 한들 누구도 면죄부를 주진 않을 것이다.

이데일리 이명철 베이징 특파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