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대학가에 따르면 강사법 시행에 따른 비용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각 대학들이 잇따라 시간강사 감축에 나서고 있다. 현재까지 확인된 곳만 10개 대학이다. 강사법이 내년 8월 시행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감축에 나서는 대학은 우후죽순 늘어날 공산이 크다. 이들 대학은 개설 과목을 줄이거나 소규모 강의를 대형 강의로 통합하고 전임강사에게 강의를 몰아주는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
대학들이 시간강사 일자리를 줄이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대학원으로 위기감이 번지고 있다. 박사학위를 받은 뒤 시간강사를 거쳐 대학교수가 되는 연결고리가 끊기면 대학원에 진학하려는 학생 자체가 줄어들 수 있어서다.
이형철 전국국공립대학교수회연합회 상임의장(경북대 교수)은 “국립대 교수로 임용되는 신임교수들의 나이를 보면 보통 40대 초반”이라며 “시간강사 일자리가 줄면 30대 초반에 박사학위를 받은 연구자들이 10년간 생존할 기반을 잃게 된다”고 지적했다.
한양대 교수 53명은 최근 이러한 우려를 담아 ‘시간강사 대량해고를 즉각 중단하라’란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대학들이 평균 절반가량의 강사를 해고하고 그 자리를 전임교수와 겸임교수로 대체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는 학문생태계를 붕괴시키고 국가의 미래를 포기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전국 184곳의 일반대학원 신입생 충원율은 2014년 89.8%에서 올해 81.8%로 하락했다. 지금도 일반대학원 입학정원 10명 중 2명이 미달이라는 얘기다. 강사 일자리가 줄어 박사학위 취득 후 교수로 올라가기가 힘들어지면 대학원 진학자가 더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도흠 한양대 국문과 교수는 “그나마 연구과제가 많은 공학분야는 강사 자리가 줄어도 연구기관 등에서 실험프로젝트에 참여하면 되지만 그렇지 못한 인문사회계 대학원은 고사할 것”이라며 “시간강사도 못하는데 누가 대학원에 오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이 교수는 “대학원이 고사하면 이를 운영하는 대학도 스스로 붕괴할 수 있다”며 “학문후속세대(대학원생과 박사과정을 마친 연구인력)를 위해 정부와 대학이 재정 부담을 감수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