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립정부론은 국민의당이 16년 만의 여소야대 국면에서 확실한 결정권을 쥔 제3당으로 우뚝 섰다는 자신감을 바탕에 깔고 있다. 그동안 당의 발목을 잡았던 야권통합론의 명맥을 끊고 향후 정국을 주도하겠다는 뜻이다. 국민의당은 DJP(김대중+김종필) 연합을 사례로 들어 단순한 엄표용이 아니라며 한술 더 떠 독자집권론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게다가 새누리당이나 더불어민주당 어느 쪽과도 연대가 가능하다는 얘기가 흘러나오면서 양대 정당 모두 긴장하는 눈치가 역력하다. 더민주는 차기 당권을 둘러싼 김종인 비대위 대표와 문재인 전 대표의 갈등이 점점 파국으로 치닫는 터에 신경 써야 할 혹이 하나 더 달린 셈이다. 총선 참패로 혼돈에 빠진 새누리당은 대놓고 표현하진 못하지만 정국을 타개할 훌륭한 대안이라며 반색하는 분위기다.
|
다만 ‘국민을 위한 정치’라는 대의를 망각하고 제3당의 영향력 극대화에 집착한 정치공학적 산물이라면 연립정부든 뭐든 기대할 게 못 된다. 국민의당의 총선 승리는 ‘막장 공천’에 실망한 새누리당 지지층의 이반 덕택이 크다. 안철수 상임 공동대표는 ‘경제와 안보는 보수’를 거듭 외치지만 당내 이념의 공감대가 미약하고 지역당의 한계도 안고 있다. 국민의당은 고유의 정체성 확보를 소홀히 한 채 결선투표제나 연립정부론 등 대선 현안에 매달림으로써 진정성을 의심받았다간 대선은커녕 내년 4월 재·보선에서도 국민의 준엄한 심판을 피할 수 없음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