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간장기임대주택은 수요자 입장에서는 개인보다 자본금이 있는 기업이 관리하다 보니 깡통전세 등으로 인한 전세사기를 당할 위험이 줄어들어 안전하다. 공급자 입장에서도 각종 세제혜택과 더불어 연 5% 이내 임차료 증액이 가능한 점으로 인해 안정적인 수익이 발생 될 수 있다. 여기에 1~2인 가구 증가 등 변화한 인구구조도 민간장기임대주택 사업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전문가들은 민간장기임대주택 시행이 국내 전·월세 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용자 입장에서는 큰 법인이 임대주택을 관리하다 보니 AS나 각종 부대시설에 대한 기대가 높고 보증금도 안전하고 빠르게 돌려받을 수 있어 좋다”며 “이러한 장점 때문에 시장 경쟁이 촉진돼 기존 임차 시장에는 영향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송승현 도시와 경제 대표는 “자금력이 없어 주택 구매가 어려운 수요자들은 양질의 민간장기임대주택에 월세로 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또 외국 업체가 장기 임대를 많이 지으면 개인이 임대하는 빌라 오피스텔은 경쟁에서 밀릴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가장 먼저 출사표를 던진 곳은 930억 달러의 자산을 운용하는 미국 부동산 디벨로퍼 ‘하인즈’다. 올해 상반기 중 진출을 예고한 하인즈는 서울 신촌 등 인구 밀집도가 높은 지역의 건물을 매입해 하이엔드 급의 임대 주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수백조 규모 자산을 운용하는 해외 부동산 디벨로퍼나 글로벌 투자사들이 국내 민간임대주택 시장 진출을 고려하고 있다.
국내 건설사와 부동산 투자사들도 당장은 아니지만 민간장기임대주택 사업에 관심이 높은 분위기다.
국내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미국 기업이 진출함에 따라 국내 기업도 결국 경쟁력을 갖춰 민간임대 시장에 진출을 고려 중이다”며 “다만 현재의 임대료 규제나 취득세 중과 등으로 인해 관련법이 완화돼야 더 유인이 되지 않을까 싶다”고 전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국내 업체들은 주로 분양형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보니 민간임대주택 사업 추진은 중장기적으로 시현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