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미래기술25]③충돌때 탑승자·보행자, 누굴 살리나…무인차 ‘윤리 딜레마’

피용익 기자I 2018.10.22 06:10:00

자율주행차(14)
기술 발전과 함께 상용화 최대 난제

자율주행차(구글 웨이모)에 탑재된 센서들. 좌측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3개의 라이다 시스템, 전방 카메라, 자율주행 센서, 레이더 센서. (자료=구글)
[이데일리 피용익 기자] 자율주행차가 시속 80km로 주행하던 중 갑자기 도로로 뛰어든 다섯 명의 사람들을 인지했습니다. 사람들을 피하기 위해 주변을 탐지합니다. 하지만 방향을 틀면 차량이 낭떠러지 절벽에 떨어져 탑승자가 죽게 됩니다. 이 때 자율주행차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

자율주행차 기술의 발전과 함께 윤리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보행자를 살리려면 탑승자가 죽고, 탑승자를 살리려면 보행자가 죽는 상황은 윤리학에서 말하는 ‘트롤리 딜레마’(다섯 사람을 구하기 위해 한 사람을 죽이는 것이 도덕적으로 허용 가능한지에 대한 질문)와 비슷합니다.

이 문제는 결국 자율주행차를 만드는 업체들이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프로그램하느냐에 달려있습니다. 이에 대한 업체별 해법은 제각각이고, 사회적 합의도 없는 상태이지요.

지난 2015년 구글은 차에 탄 사람보다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비해 메르세데스-벤츠는 보행자와 탑승자 모두를 보호하기 위해 사고를 최소화하는 차를 개발한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보행자를 죽이는 차는 사회적 지탄을 받게 될 거고, 탑승자를 죽이는 차는 시장에서 외명당할 것이기 때문에 자율주행차 업체들의 선택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대다수 기업들은 대답을 보류하고 있습니다.

사고가 발생했을 때 법적인 책임 문제도 풀어야할 과제입니다. 2018년 3월 우버 자율주행차가 보행자를 치어 숨지게 한 사고의 경우 시험운전의 주체인 우버, 차량에 탑승하고 있던 직원, 차량 제조사인 볼보 중 누가 형사 책임을 지느냐의 문제가 논란이 됐습니다. 만약 자율주행 시스템 해킹에 의한 사고가 일어난다면 책임 소지를 가리는 일은 더욱 복잡해지겠지요.

사고 책임 문제는 보험 산업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 때문에 자율주행차의 상용화에 대비한 보험제도 구축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이미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