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율주행차 기술의 발전과 함께 윤리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보행자를 살리려면 탑승자가 죽고, 탑승자를 살리려면 보행자가 죽는 상황은 윤리학에서 말하는 ‘트롤리 딜레마’(다섯 사람을 구하기 위해 한 사람을 죽이는 것이 도덕적으로 허용 가능한지에 대한 질문)와 비슷합니다.
이 문제는 결국 자율주행차를 만드는 업체들이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프로그램하느냐에 달려있습니다. 이에 대한 업체별 해법은 제각각이고, 사회적 합의도 없는 상태이지요.
지난 2015년 구글은 차에 탄 사람보다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비해 메르세데스-벤츠는 보행자와 탑승자 모두를 보호하기 위해 사고를 최소화하는 차를 개발한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보행자를 죽이는 차는 사회적 지탄을 받게 될 거고, 탑승자를 죽이는 차는 시장에서 외명당할 것이기 때문에 자율주행차 업체들의 선택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대다수 기업들은 대답을 보류하고 있습니다.
사고가 발생했을 때 법적인 책임 문제도 풀어야할 과제입니다. 2018년 3월 우버 자율주행차가 보행자를 치어 숨지게 한 사고의 경우 시험운전의 주체인 우버, 차량에 탑승하고 있던 직원, 차량 제조사인 볼보 중 누가 형사 책임을 지느냐의 문제가 논란이 됐습니다. 만약 자율주행 시스템 해킹에 의한 사고가 일어난다면 책임 소지를 가리는 일은 더욱 복잡해지겠지요.
사고 책임 문제는 보험 산업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 때문에 자율주행차의 상용화에 대비한 보험제도 구축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이미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