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과 협력사 간 수익성 격차 10년간 크게 축소

김현아 기자I 2012.09.02 11:00:00

협렵업체 성장에 대기업 성장의 낙수효과 확인
영업이익률 격차 9.2%p('02) → 3.5%p('11)로 줄어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10대 그룹 대표 기업들과 거래하는 협력업체 총 692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 10년 (‘02~’11년) 간 거래 대기업과의 수익성 격차가 계속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협력업체들의 성장성이 거래 대기업보다 우수해 대기업 성장 때문에 협력업체도 도움을 받는 소위 ‘낙수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0년간 거래 대기업과 협력업체 간 영업이익률 격차는 9.2%p(‘02)에서 3.5%p(’11)로 좁혀졌으며, 같은 기간 매출액 증가는 협력업체가 3.08배로, 대기업(2.78배)보다 높았다.

◇대기업과 협력업체 간 수익성 격차 10년간 크게 축소

▲대기업·협력업체 영업이익률 격차 추이(출처: 전경련)
전경련에 따르면 ‘02년 대기업과 협력업체의 영업이익률 격차는 9.2%p에 달했지만 이후 지속적으로 축소돼 ‘11년 들어 격차 폭은 3.5%p까지 축소된 상황이다. 기업의 영업외손익을 고려한 법인세차감전 순이익률 격차도 지속적으로 개선됐지만 (’02년 9.3%p → ‘11년 4.8%p) 영업이익률보다는 격차가 커, 협력업체의 이자비용 등 영업외손익 관리가 더 필요할 것으로 분석됐다.

경제개혁연구소의 작년 12월 연구 결과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도출된 바 있다. ‘00년 4.44%p에 달했던 대기업과 협력업체의 영업이익률 격차가 ‘10년 들어 1.70%p까지 축소됐을 뿐만 아니라 ‘00~’10년 평균 순이익률 역시 하도급기업(4.65%)의 순이익률이 대기업(4.74%)과 거의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며 일반 중소기업(2.40%) 순이익률의 약 두 배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10년간 대기업보다 협력업체 성장성이 높아

‘02년 대비 ’11년 매출액(출처: 전경련)
성장성 측면에서도 지난 10년간 대기업 매출액은 2.78배 증가했지만, 이와 거래하는 협력업체 매출액은 3.08배 증가해 협력업체들의 매출액 증가세가 더 높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총자산 측면에서도 대기업 총자산이 3.01배 증가하는 동안 협력업체 총자산은 3.43배 증가해 ‘대기업의 성장으로 말미암은 협력업체 매출 증가 및 투자 확대’라는 ‘낙수효과’가 확인됐다.

전경련 측은 대기업 성장이 협력업체에 미치는 긍정적 파급효과는 최근 대기업들의 동반성장 노력때문에 2,3차 협력업체에까지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두산인프라코어 등은 매년 협력업체 평가 시 공정거래 준수, 대금지급 조건 개선, 생산성 및 품질혁신 지원 등 1차 협력업체의 2차 협력업체에 대한 동반성장 실적을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우수 협력업체를 선정하고 있다.

전경련 관계자는 “최근 글로벌 경쟁은 기업 對 기업이 아닌 기업군 간 생태계 경쟁으로 진화하고 있어, 대기업 입장에서도 협력업체 성장을 통한 공급사슬 전체의 경쟁력 강화가 절박해진 상황”이라면서 “동반성장 문화 확산의 필요성에는 공감하나, 이것이 인위적 규제의 형태로 나타나면 대기업과 협력업체 간 자율적 협력관계를 저해할 수 있다”라고 우려했다.

◇9개 대기업 분석..한진 제외

이번 조사의 대상은 ‘12년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기준 10대 그룹 (공기업 제외) 소속 기업 중 업종 대표성이 있는 업체 9개사와 그 협력업체다, 분석대상 대기업은 삼성전자(005930), 현대자동차(005380), SK텔레콤(017670), LG디스플레이(034220), 롯데쇼핑(023530), 포스코(005490), 현대중공업(009540), GS건설(006360), 두산인프라코어(042670) 등 9개사로, 한진(002320)은 항공·운송업 위주여서 업종이 부적절하다고 판단해 제외했고, 추가로 두산을 집어넣었다.

분석대상이 된 협력업체는 이들 대기업과 거래하는 업체중 ① 납품비율 10% 이상 ② 비계열 ③ 외감법인(자산 100억) 이상 ④ 중소 (대기업, 중견기업 제외)⑤ 제조업체로 ⑥ ‘02~’11년 재무지표 파악이 가능한 총 692개사로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