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오늘 6시 32분 서울지역에 경계경보 발령,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
북한의 우주발사체 발사로 인해 서울시가 지난달 31일 오전 6시 41분에 발송한 ‘경계경보’ 위급 재난 문자는 1000만 시민에게 ‘혼돈의 모닝콜’이 됐다. 육하원칙을 전혀 지키지 않은 문자에는 왜, 어디로, 어떻게 대피하라는 내용이 모두 빠져 있었다. 경계경보 발령 이유를 알기 위해 많은 인원이 동시 접속하면서,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가 먹통이 돼 혼란은 더욱 가중됐다. 행정안전부가 같은 날 오전 7시 3분 ‘오발령’이란 문자를 발송하며 상황은 마무리됐지만, 서울 시민들은 약 22분간 깜깜이 경보로 인한 전쟁의 공포를 경험해야했다.
서울시와 행안부는 경계경보 ‘오발령’ 여부 등 관련 책임 공방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책임 소재 파악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번 일을 계기로 민방공 경보 체계를 제대로 세우는 일이다. 특히 2017년 이후 6년간 중단했던 공습상황 대비 전 국민 민방위 훈련을 조속히 재개해야한다.
당초 정부는 지난 2017년 8월을 마지막으로 중단됐던 공습상황 대비 민방위 훈련을 지난달 16일 전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6년간 미실시를 감안해 전국민 대상 훈련 대신 공공기관 및 학교 중심 실시로 변경됐다. 원래 계획한 전 국민 대상 공습상황 대비 민방위 훈련은 ‘공습 경보발령→경계경보 발령→경보해제’ 순으로 이뤄지고, 일반 국민 대피 및 차량 이동통제 등도 포함돼 있다. 만약 전 국민 대상 훈련이 예정대로 이뤄졌다면 1000만 서울시민이 혼란이 빠지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민방공 경보는 적의 공격이 예상되면 경계경보로 1분간 평탄한 사이렌 소리, 공격이 진행되거나 공격이 임박하면 3분간 물결치는 듯한 사이렌 소리가 3분간 이어진다. 1953년 7월 27일 이후 70년간 대한민국은 ‘휴전’ 상태다. 최소한 국민들이 사이렌 소리 의미를 구분하고, 집 주변 대피소 위치는 파악할 수 있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