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각국은 자국 여건에 따라 에너지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가용한 에너지 공급원이 상이하고,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에 이바지할 수 있다면 어떤 기술도 배제할 이유가 없는 상황”며 “원자력과 재생에너지, 수소를 포함한 다양한 수단을 포괄적으로 추구하는 한국의 정책적 접근을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CFE 이니셔티브는 우리 정부와 산업계가 지난해 9월부터 전 세계 확산을 모색 중인 탄소중립 달성 방법론이다. 전 세계는 2016년 파리협약에 따라 기후변화에 대응해 탄소중립을 달성키로 했는데, CFE 이니셔티브는 에너지 부문에서의 탄소중립 노력이 현 재생에너지 일변도가 아닌 원자력·수소 등 모든 무탄소 에너지원을 아우르는 노력으로 확대돼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기본적으론 원전 발전 비중이 30% 이상으로 높고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10%로 낮은 국내 실정에 맞춘 방법론이기는 하지만, 재생에너지 발전량 확대 여건이 좋지 않거나 원전 발전량이 많은 나라를 중심으로 이 같은 움직임에 동참할 여지가 있다. 이미 영국, 프랑스, 일본, 네덜란드 등 다수 국가가 이에 대한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 세계적으로 원전 우호적 정책이 회귀하고 있는 것도 CFE 이니셔티브 확산에는 좋은 흐름이다. 원전은 탄소 배출량이 낮은 탈탄소 에너지원이지만, 전 세계적으로 체르노빌, 후쿠시마의 방사선 유출 사고와 그에 따른 낮은 국민 수용성 등 문제로 탈탄소화 과정에서 배제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그에 따른 글로벌 에너지 위기를 계기로 다시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5년 만에 원상복귀한 것도 이 같은 흐름과 무관치 않다.
정부는 4~6일 열리는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서도 ‘기후 기술로 열어가는 CFE 시대’란 이름으로 국제 무대에서 CFE 이니셔티브 확산을 모색한다. 또 이 같은 분위기 조성 노력과 함께 오는 10월 브라질에서 열리는 청정에너지장관회의(CEM)에서 주요국과 CFE 이니셔티브 이행체계 마련을 위한 글로벌 작업반을 출범한다는 구상이다. 정부 관계자는 “IEA와 CFE 등에 대한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CEM 등과 같은 다양한 국제회의를 통해 CFE 활용 확대에 대한 논의를 확산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