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파란북극]⑤G7 참여로 위상 빛낸 韓, 이제 북극 선도국가로 도약해야

정다슬 기자I 2021.07.02 06:00:00

북극의 변화, 위기이자 기회
2013년 북극이사회 옵서버 진출
북극정책 기본계획 등 제도적 준비 마쳐

<북극 지방은 백야가 나타나는 북위 66도 33분선 지역부터 북극점까지의 지역을 뜻합니다. 거대한 빙하, 혹한과 눈폭풍이 지배할 것 같은 이곳은 그 어느 곳보다 기후변화에 극심한 변화를 맞고 있습니다. 이러한 북극의 변화는 인류 공동 대응을 요하는 위기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막대한 자원과 새로운 항로를 개척할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말 그대로 ‘블루오션’(Blue Ocean)인 셈입니다. 파란 북극을 둘러싼 국가 간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는 이유입니다.

지금 북극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과 우리의 갈 길에 대해 이데일리가 8회에 걸쳐 격주로 연재합니다.>

[엄기두 해양수산부 차관] 극지 연구는 지구 역사를 찾는 과정이다. 북극의 얼음 속에는 몇만년 전의 탄소와 미생물 등이 포집되어 있다. 북극은 지난 50년 간 지구 평균보다 2.0℃ 더 올라, 다른 곳 보다 기후변화 반응 속도가 두 배 빠르다. 북극 변화를 보면 미래의 지구 환경 변화를 가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과학자들은 올해 초 미국을 강타한 한파와 스페인 폭설, 지난해 우리가 겪은 역대 최장 장마의 원인으로 북극을 지목한다. 북극 연구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이유이다.

북극 변화는 한편으로 기회이다. 최근 수에즈 운하 사고로 북극항로가 다시 한 번 주목받았다. 북극 항로를 통하면 부산-로테르담 간 운항시간이 지금보다 25% 줄어든다. 북극은 해양바이오 산업의 블루 오션이다. 이미 당뇨 치료제, 혈액 동결 예방물질을 찾았고, 노화 방지, 박테리아를 먹는 생물에 대한 연구도 시도하고 있다.

세계가 북극을 향하고 있다. 북극해 연안국은 물론, 중국, 일본도 적극적이다. 중국은 일대일로(一帶一路)에 북극항로를 포함하고, 자국을 ‘근 북극 국가’(Near Arctic State)로 천명했다. 일본은 북극해 자원 수송을 위해 러시아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이렇듯 우리도 북극 진출에 국가적 역량을 모아야 한다. 북극을 이해하는 것은 기후와 해양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우리의 생존 문제이다. 북극 해빙으로 열리는 경제, 산업 분야의 기회도 선점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북극 정책을 두 방향에서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북극 과학연구를 강화한다. 우리나라는 2002년 북극 다산기지, 2009년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를 투입하는 등 독자적 연구기반을 마련하였다. 2015년에는 세계 최초로 한파, 폭염 등 중위도 이상 기상이 북극에서 비롯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에 더해, 정부는 차세대 쇄빙선을 건조하기로 하였다. 2027년에 되면 연간 150일 이상, 북위 75도 너머의 바다까지 진출하게 될 것이다. 기후, 해양뿐만 아니라 우주, 바이오까지 북극 연구의 지평을 넓혀갈 것이다.

둘째, 북극권 국가와 협력을 한층 심화할 계획이다. 이미 우리나라는 2013년 북극이사회 정식 옵서버 국가로 진출하였다. 북극권 국가와의 협력은, 북극해에 접하지 않은 우리나라가 중요한 이슈들에서 ‘존재감’을 얻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그간 과학기술 분야에 제한되었던 북극협력을, 앞으로는 북극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염두에 둔 실체적인 사업으로 확장해야 한다. 북극권 국가와 협력을 발판으로 이제 막 시작된 북극 보존·관리 등 국제규범 형성 과정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지난 4월 세계에서 유일하게 남극과 북극을 아우르는 ‘극지활동진흥법’을 제정하였다.

정부는 2013년 ‘북극 정책 기본계획’을 발표하며 ‘북극 활동 선도국가’ 비전을 제시하였다. 당시에는 선도국가라는 말이 낯설었지만, 이제 상황이 바뀌었다. K-방역 성과, G7 참여 등을 계기로 경제, 산업, 사회 모든 분야에서 우리는 추격자가 아닌 선도자를 꿈꾸고 있다. 그 꿈을 북극에서도 펼치고자 한다. 북극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북극을 대하는 자세’를 다시 가다듬을 때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