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소상공인들의 중개수수료 부담을 덜겠다며 잇따라 공공배달앱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소비자들은 이용 불편 등을 이유로 외면하고 있어 혈세만 낭비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공공배달앱 실태를 이지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착한 배달앱’을 자처하며 도입된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배달앱.
최대 15%에 육박하는 민간 배달앱의 중개수수료와 비교하면 공공배달앱은 1%~2%대로 훨씬 낮습니다.
하지만 공공배달앱 30곳 가운데 일평균 이용자수가 1000명이 넘는 곳은 고작 9곳뿐입니다.
[배달e음 A가맹업체]
“민간앱 같은 경우에는 배달앱이 거의 200건에서 250건 작게 잡아야 150건 정도 되는데 공공앱 같은 경우에는 한 달에 6건 정도, 이번 달 같은 경우에는 6건이었고...”
다른 가게 사정도 비슷합니다.
[배달e음 B가맹업체]
“(공공배달앱이 캐시백 혜택도 있잖아요.)”
“혜택도 많고 좋은 건 아는데 젊은 사람들이 보면 좋은 혜택을 잘 안 써요. 홍보가 안되다 보니깐. 접근성이 떨어지다 보니깐 배민 같은 경우에는 자기들끼리 연동을 해서 쓰기도 편하고 저도 편해요. 배달e음은 별도로 또 제가 조작을 해야 되고...”
민간배달앱에 비해 낮은 인지도가 가장 큰 이유로 꼽힙니다. 이용자를 늘리려면 지속적인 투자를 이어나가야 하는데 세금을 계속 쏟아부을 수는 없는 만큼 태생적인 한계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의 광고선전비는 매년 늘어나는 반면, 지자체들의 연간 지원액은 10억원 안팎에 불과합니다.
공공배달앱을 출시했다가 금방 사라지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앞서 춘천시는 매년 투입되는 운영비에 부담을 느끼고 서비스 한 달 만에 배달앱 사업을 포기했고, 익산시도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해 검토 단계에서 발을 뺐습니다. 거제시도 비슷한 이유로 서비스 출시 2년 만에 ‘배달 올거제’를 종료했습니다.
[유병준/서울대 경영학과 교수]
“일단 IT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지고, 가장 중요한 마케팅 기능이 전무하고, 의사결정이 느릴 수밖에 없어요. 공공기관 특성상. 이 세 가지 조건이라면 공공배달앱이 안될 수밖에 없는 조건을 100% 만족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공공배달앱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에도 배달앱은 오히려 늘어나 혈세 낭비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2021년 8월 기준 22곳이었던 공공배달앱은 지난해 말 30곳으로 증가했습니다. 인구 38만명인 세종시에만 공공배달앱이 4곳이나 됩니다.
세종시 관계자는 “자율적인 경쟁구도 형성을 위해 부적격 사유가 없는 업체를 모두 선정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쓴소리도 나옵니다.
[유병준/서울대 경영학과 교수]
“기관 내에서도 각 부서 간의 일종의 이기주의 내지는 각 부서가 사업을 하고자 하는 욕심에서 나온 거겠죠. 플랫폼이라는 건 판을 깔아준다는 의미이지 그 판의 플레이어인 플랫폼을 하라는 것은 아니거든요. 국민의 세금을 이용해서 예산 낭비를 할 것이 여러 경험으로 볼 때...”
이와 관련해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은 “국민의 세금이 쓰이는 만큼 소비자로부터 외면받는 앱은 과감히 철수시켜야 한다”, “지역 경제에 실효성있게 쓰일 수 있도록 정치권이 나서서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공공배달앱의 본래의 취지를 살리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이데일리TV 이지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