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표는 18일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자신과 ‘타다’를 운영하는 쏘카 자회사 VCNC의 박재욱 대표가 서울개인택시조합 전·현직 간부 9명으로부터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위반 혐의로 고발당했다는 소식을 전하며 이들에 대해 업무방해와 무고 혐의로 맞고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타다는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에 의거해 지극히 합법적 차량 대여 및 기사 알선 서비스로 이미 국토교통부, 서울시 등에서도 합법적 서비스라고 밝힌 바 있다”며 “(택시 기사들이) ‘법을 자의적으로 해석한 불법 서비스’라고 검찰에 고발했다”고 비판했다.
◇“택시와 시장 다르다…그만 괴롭혀라” 경고
이 대표는 “타다가 합법 서비스인 것은 검찰에서 다시 한번 밝혀질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그는 고발 택시기사들에 대한 맞고소 검토뿐 아니라 손님으로 가장해 타다 기사들의 불법영업을 적발·유인하겠다고 언급한 ‘타파라치’(타다+파파라치) 택시기사들에 대해서도 “업무방해(혐의)로 의법 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쏘카·타다는 택시와 경쟁해 택시시장을 빼앗을 생각이 없다”며 “저희는 자동차 소유를 줄여 새로운 이동 시장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동 기준을 높이면 더 크고 새로운 시장이 생긴다. 이동의 기준을 높이는 데에 동참하겠다는 많은 택시기사·업체와 타다 플랫폼을 함께 하는 것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부 택시기사들이긴 하겠지만 시장도 다르고 기준도 다른 신산업 업체를 괴롭히는 일은 그만했으면 좋겠다”고 경고했다.
앞서 이 대표는 지난 15일엔 승차 공유와 관련해 “기존 이해관계자의 반대라는 우리 현실을 고려하지 않으면 도입이 어려울 것”이라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발언에 대해 “너무나 비상식적”이라며 “어느 시대의 부총리이지 잘 모르겠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혁신 찬반 이해 관계자를 모아놓고 어떻게 대타협이 이뤄지길 기다리는 걸까요? 그 대타협이 사회적으로 도움이 될까요?”라고 반문하며 “이름뿐인 사회적 대타협 기구가 아니라 진정한 사회적 대타협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가장 중요한 모빌리티 이용자가 빠지고 카카오와 택시4단체, 국회의원들이 모인 기구를 ‘사회적 대타협 기구’라고 명명한 것부터 말도 안 되는 일”이라며 “수십만 택시기사가 있다고 하지만 수천만명의 택시 이용자가 있다”고 꼬집었다.
◇“사회적 대타협 기구?…어느 국민이 결론 수용하나”
그는 “택시기사들을 위한 대책을 어떻게 마련할까, 그 대책을 위해 들어가는 비용을 우리 사회가 부담해야 하는지와 어떻게 부담해야 할지와 함께 이용자 불편이 없도록 혁신 모빌리티 서비스를 도입하는 것을 논의해야 그것이 사회적 대타협 기구”라며 “어느 국민이 대타협 기구 결론을 수용할 것이라고 생각하느냐”고 반문했다.
이 대표가 이처럼 연일 강경 메시지를 쏟아내는 것은 현재 모빌리티 업계가 놓은 위기 상황과 무관치 않다는 것이 업계 분석이다. 실제 ‘대타협 기구’는 앞서 세 차례 회의를 했지만 혁신과 동떨어진 채 ‘플랫폼을 활용한 택시 영업’이라는 택시업계의 일방적 요구에 대해서만 합의를 이룬 상태다.
택시업계에 이처럼 당근이 주어졌지만 그 반대급부로 모빌리티 산업 발전방향에 대해 다룰지에 대해선 아직 논의조차 되고 있지 않다. 정부·여당 등에선 ‘택시 발전 방향 논의가 종료되면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기대감을 보이고 있지만 택시업계에선 이를 전면 부인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택시업계는 ‘대타협 기구’ 논의 와중에도 장외에선 다른 승차공유 업체를 향해 칼을 겨누며 연일 공세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택시 단체들은 지난 12일 “타다·풀러스는 불법 유사 택시영업”이라며 “대타협 기구 성공적 논의를 위해서도 불법 유사 택시영업을 즉각 중단하고 정부는 위법행위를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모빌리티 업계에선 이 같은 상황에서 ‘대타협 기구’에 대해 불신이 쌓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정부·여당은 택시업계의 눈치만 보고 있고, 카카오는 모빌리티 업계 미래를 보지 않고 정부 눈치만 보며 ‘밥그릇 챙기기’에 나서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대표의 발언은 결국 택시업계의 일방적 요구만 들어주는 ‘대타협 기구’ 논의와 택시업계의 ’승차공유 서비스 죽이기‘를 더 이상 방관할 수 없다는 위기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 대표 스스로도 이대로 가면 안 된다는 위기감이 반영된 결과”라며 “1세대 벤처인, 모빌리티 업계 대표주자로서의 책임감이 작용한 것 같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