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오대산사고본만 일본으로 옮겨졌을까[알면 쉬운 문화재]

이윤정 기자I 2023.11.11 07:00:00

국보이자 유네스코 유산 '조선왕조실록'
평창 오대산, 항구 통해 약탈 쉬운 위치
사책 150점 주문진 통해 도쿄대로 가져가
오대산사고본 품은 실록박물관 개관

우리 ‘문화재’에는 민족의 역사와 뿌리가 담겨있습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도 있듯이 수천, 수백년을 이어져 내려온 문화재는 우리 후손들이 잘 가꾸고 보존해 나가야 할 소중한 유산이죠. 문화재는 어렵고 고루한 것이 아닙니다. 문화재에 얽힌 재밌는 이야기, 쉽고 친근하게 배울 수 있는 문화재 이야기를 전합니다.<편집자주>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을 세운 태조부터 철종에 이르기까지 472년간의 역사를 담은 문화유산이에요. 국보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데요. 과거에는 실록을 보관하기 위해 춘추관과 충주·전주·성주 사고(史庫, 국가의 중요한 서적을 보관하던 서고)를 운영했지만, 임진왜란(1592∼1598)으로 전주 사고를 제외한 나머지 사고는 모두 소실됐어요. 전쟁이 끝난 뒤에는 소실을 막기 위해 인적이 드문 깊은 산속에 사고를 설치했어요. 정족산사고, 적상산사고, 태백산사고, 오대산사고 등 4곳인데요. 그 중 강원 오대산의 사고에는 조선왕조실록과 왕실의 주요 행사를 정리한 의궤, 왕실의 족보 등과 같은 주요한 기록물을 보관했죠.

하지만 오대산사고에 보관 중이던 실록과 의궤는 일제강점기에 실록 전량과 의궤 일부가 일본으로 반출됐어요. 일제강점기 시절 정족산 사고본과 태백산 사고본은 경성제국대, 적상산 사고본은 창경궁 장서각으로 옮겨졌지만, 오대산 사고본만이 유일하게 바다를 건너 일본으로 빼돌려졌죠. 왜 오대산 사고본만 일본으로 반출됐을까요.

오대산사고본 ‘선조실록’(사진=문화재청).
1910년 한일강제병합으로 우리나라의 국권을 강제로 빼앗은 일본은 본격적으로 우리 문화재 유린에 나섰어요. 오대산사고 문화재도 예외는 아니었죠. 실록은 1913년에, 의궤는 1922년에 일본으로 불법 반출됐어요. 특히 오대산사고본만이 일본으로 옮겨진 이유는 일본과 가까운 항구(주문진항)를 통해 약탈하기 위해 지리적으로 가장 적합한 곳이 바로 평창이었기 때문이에요. 일본 총독부 관원 등은 월정사에 머무르며 사고와 선원보각에 있던 사책 150점을 강릉군 주문진으로 운반해 일본 도쿄대학으로 가져갔어요. 민간과 불교계, 정부는 약탈당한 우리의 기록유산을 되찾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어요. 그 결과 2006년과 2017년 실록이, 2011년 의궤가 각각 국내로 환수됐죠.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상설전시실(사진=문화재청).
최근 오대산 사고본이 기나긴 타향살이를 끝내고 110년 만에 제자리로 돌아왔어요. 오대산 사고본을 품은 강원도 평창군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이 문을 연 것인데요. 이곳은 일본에서 돌아온 이후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해 온 오대산 사고본 실록 75책과 의궤 82책을 포함해 관련 유물 1207점을 보관·관리하는 역할을 해요. 조선왕조실록과 의궤 원본을 언제든 볼 수 있는 상설전시실 등을 운영하고 있죠.

의궤는 왕실 행사나 국가의 중요 사업이 끝난 뒤 전 과정을 글과 그림으로 기록한 자료예요. 2011년 일본에서 환수한 오대산 사고본은 모두 19세기 후반 이후 제작된 것인데요. 1906년 경운궁을 중건한 공사 과정을 기록한 ‘경운궁중건도감의궤’, 철종(재위 1849∼1863)이 승하한 뒤 국장과 관련한 절차 등을 정리한 ‘철종국장도감의궤’ 등을 상설전시실에서 만나볼 수 있어요.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은 11일 개관식을 시작으로 12일 정식으로 문을 열고 관람객을 맞이합니다.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외관(사진=문화재청).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