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러한 모습은 꼭 잘못되었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좀 더 부정적인 충성심의 형태도 있다. 외도하시는 아버지로 인한 어머니의 절망과 슬픔을 지켜본 아들은 자라면서 아버지를 원망하며 자신은 결코 아버지처럼 바람 피지 않겠다고 다짐을 하지만, 결혼 후 자신도 같은 행동을 하게 된다. ‘흉보면서 닮는다’라는 속담처럼 어느새 외도하는 아버지의 모습이 내면화(internalization)되어 바람피울 가능성이 커진 탓이다.
의식적으로는 절대 바람 피지 않겠다고 선포하고 노력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방식으로 아버지의 행동을 따라 하며 아버지에 대한 충성심을 보인다. 이는 어려서부터 아버지의 모습을 지켜보면서 여자를 존중하는 마음보다는 성적 대상으로 여기는 태도를 배우고, ‘나의 어머니도 참고 살았는데 당신도 참는게 당연하지’, ‘남자란 한 번쯤은 바람피울 수 있는 거야’라는 내면의 소리를 키우며 살았기 때문이다.
이렇듯 보이지 않는 충성심으로 인해 그릇된 행동이 자녀 세대에 전수되며 역기능 가정이 대물림된다. 부모로부터 신체적, 정서적 학대를 받고 자란 사람은 자녀를 학대할 가능성이 70%가 넘고, 알코올 중독 가정에서 자란 사람은 알코올 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정상인보다 4배나 높다고 한다. 그렇게 경멸하고 싫어하던 부모의 행동이 은연중에 나의 마음에 자리 잡아 유사한 상황이 펼쳐지면 자신도 똑같이 따라 하게 되는 무의식의 기제다.
이러한 부정적인 ‘보이지 않는 충성심’을 수정하지 않으면 역기능적인 가정의 상호작용은 되풀이된다. 역기능의 대물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눈에 보이지 않는 충성심을 인식해야 한다. 주로 무의식에 존재하는 보이지 않는 충성심은 스스로 인식하기 어려워 때로는 상담의 도움이 필요하거나, 자기 삶을 심도 있게 돌아보는 명상의 방법이 요구된다. 일단 보이지 않는 충성심의 부정적인 역동을 깨닫게 되면 그 횟수는 줄어든다. 원인을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정적인 역동의 원인에 대한 인식을 통해 잘못된 행동을 버리고 옳은 행동을 하고자 선택할 때 자신이 회복되고 가정도 살아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