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우리말, 생활 속으로]①국적불명 외국어에 '까막눈' 된 사람들

윤종성 기자I 2021.05.11 06:00:00

외국어·우리말 섞어 쓰는 합성어 급증
연령 높아질수록 이해에 어려움 겪어
정보 소외·세대 단절 원인으로 작용해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외국어 단어나 표현을 우리 말에 섞어 쓰는 일이 빈번해지면서 소외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무슨 뜻인지 모를 외국어의 범람은 세대 갈등은 물론, 국민의 생명·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낯선 외국어가 우리 일상을 점령하기 전에 쉽고 바른 우리 말로 전환하는 노력이 필요한 이유다. 이데일리는 세종대왕 나신 날(5월15일)부터 한글날(10월9일) 즈음까지 총 12회에 걸쳐 외국어 남용 실태를 짚고, 우리말 사용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기획 기사를 연재한다. <편집자 주>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외국어· 외래어 사용 수준에 대한 인식
70대 김 모씨는 어느 날 인터넷 기사를 읽다가 난감했다. 문장 하나가 도저히 이해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팬데믹이 길어지면서 코로나블루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언택트 문화와 웰니스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문구였다. 감염병 대유행을 뜻하는 ‘팬데믹’, 접촉을 뜻하는 ‘contact’에 부정적 의미의 ‘un’을 붙여 만든 ‘언택트’, 코로나19로 인한 우울감을 의미하는 ‘코로나블루’, 웰빙과 행복, 건강을 합친 신조어 웰니스 등의 단어가 모두 그에겐 낯설었다. 김 씨는 “단어의 뜻을 모르다 보니 까막눈이 된 기분”이라며 “정보에서 소외되는 것 같아 씁쓸하다”고 털어놨다.

비단 김 씨만이 아니다. 국적 불명의 외국어 단어나 표현을 우리말에 섞어 쓰는 일이 빈번해지면서 소통에 애를 먹는 사람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어느덧 익숙해진 영어포장지, 간판, 음식점 차림표 등으로 인해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정보 소외 계층이 급증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글문화연대가 국민 1만107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외래어·외국어에 대한 국민 이해도 조사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조사 대상이었던 외국어 단어 3500개 가운데 전체 응답자의 60% 이상이 쉽게 이해하는 단어는 1127개(32.2%)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단어 이해도는 낮아지더니 70세 이상에서는 60% 이상 이해하는 단어가 고작 256개(7.3%)였다. 70세 이상에서는 요즘 흔히 쓰이는 투잡(두 가지 직업에 종사), 네티즌(사이버 공간에서 활동하는 사람), 이슈(대중의 관심) 등의 단어들조차 쉽다고 느끼는 비율이 각각 34.1%, 26.8%, 24.4% 수준에 그쳤다.

어려운 외국어 단어나 표현들의 무분별한 사용은 국민에게 ‘스트레스’로 다가온다. 상명대 국어문화원이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를 보면 대중매체에서 나오는 외국어로 인한 스트레스 경험을 묻는 질문에 ‘간혹 있다’가 65%, ‘매우 많다’가 17%였다. 10명 중 8명 이상이 대중매체 속 이해하기 어려운 외국어로 스트레스를 받았다는 얘기다.

언어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세대간 이해도 격차는 정보 소외, 세대 단절 등으로 이어져 갈등과 충돌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더 큰 문제는 어려운 단어나 표현이 국민의 생명·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건강·질병 관련 외국어들을 쉬운 우리말로 시급히 대체해야 한다는 제언이 늘고 있다.

영국의 경우 영세민이 난방비 신청서식을 이해 못해 얼어 죽은 사건을 계기로 ‘쉬운 영어쓰기 운동’이 일어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 2010년 난해한 서식 및 정책용어가 연간 285억 원에 이르는 사회적 비용을 초래한다는 분석 결과를 내놨다. 최근 외국어 사용 급증으로 언어의 사회적 비용은 크게 늘었을 것으로 관측된다.

김형주 상명대 국어문화원 교수는 “어려운 외국어 단어, 표현들이 무분별하게 쓰이면서 정보에 소외되는 계층이 늘고 있다”며 “특히 ‘뉴딜 정책’에서 보듯 가장 쉬운 말을 써야 할 정부부처, 공공기관들마저 외국어를 남용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외국어가 우리 귀에 익고 입에 붙기 전에 쉬운 우리 말로 바꾸려는 노력이 절실하다”며 “우리나라의 언어 환경은 매우 건강하지 못하다”고 우려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