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2024년 갑진년(甲辰年)은 푸른 용 ‘청룡의 해’예요. 육십간지의 41번째로 푸른색의 ‘갑’과 용을 의미하는 ‘진’이 만나 ‘청룡(靑龍)’을 의미하죠. 용은 십이지신 중 유일한 상상의 동물이에요. 낙타 머리에 사슴뿔, 토끼 눈, 소의 귀, 뱀의 목, 개구리 배, 잉어 비늘, 매 발톱, 호랑이 발을 가졌다고 합니다.
예로부터 초현실적 존재인 용은 강력한 힘을 갖고 있다고 믿어졌어요. 사람들은 각종 건축물이나 복식, 공예, 그림, 가구 등 일상생활 곳곳에 용과 관련된 무늬를 활용하며 저마다의 간절한 바람을 투영시켰죠. 특히 청룡은 동쪽을 지키는 수호자로 백호, 주작, 현무 등 사신(四神) 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힘을 지녔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삼국시대 무덤 벽화부터 절터의 벽돌, 그림, 왕실용 항아리 등에 용이 등장하는 이유죠. 용이 등장하는 과거의 유물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고(故)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유족이 기증한 ‘고사인물화보첩’에는 ‘용과 봉황을 탄 선인’ 그림이 담겨있어요. 보름달과 북두칠성이 빛나는 어느 밤, 진나라 사람인 소사가 부는 퉁소 소리를 듣고 봉황이 찾아왔다고 해요. 소사와 그의 아내가 각각 봉황과 황룡을 타고 하늘을 자유롭게 유영하는 모습이 신비로운 느낌을 자아내죠.
조선 18세기 후반 왕실 항아리인 ‘백자 청화 구름·용무늬 항아리’에는 코발트 안료로 그려진 위풍당당한 오조룡이 등장해요. 입을 크게 벌리고 바람을 거슬러 거침없이 나아가는 용의 기상을 느낄 수 있어요.
용은 생명의 근원이자 농경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물을 상징하며 비, 바다 등을 다스리는 동물이기도 했어요. 날씨를 관장하며 ‘수신’(水神)과 ‘우신’(雨神)을 상징했죠. 선조들은 농사에 필요한 물을 얻기 위해 용에게 비를 내려달라고 빌곤 했는데요. 그런 의미에서 농사일을 위해 이동할 때 맨 앞에 세우는 깃발인 ‘농기’에 용을 그렸어요. 용왕과 용궁부인을 그린 ‘무신도’와 ‘기우제 제문(천지신명이나 죽은 사람을 제사 지낼 때 쓰는 글)’ 등을 통해서도 용에게 비와 물을 빌던 선조들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