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용의 세계시민] 여성 투표 역사 130년과 75년의 격차

송길호 기자I 2023.09.18 06:30:00

뉴질랜드 여성 선거권 허용 130주년



뉴질랜드 여성운동가 케이트 셰퍼드
[이희용 다문화동포팀 자문위원] 1893년 9월 19일은 여성운동사와 인류 정치사에서 기념비적인 날이다. 뉴질랜드에서 세계 최초로 여성 선거권을 보장하는 법안이 공포됐기 때문이다. 오랜 세월 피땀 흘려 싸운 끝에 쟁취해낸 것이다. 우리나라는 1948년 제헌국회 구성을 위한 5·10 총선부터 남녀가 동등하게 투표권을 행사했다. 2차대전 후 독립한 대부분 나라 여성처럼 어느 날 자고 일어나니 유권자가 된 것이다.

뉴질랜드 지폐에 새겨진 인물 가운데 여성은 두 명이다.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20달러)와 선거권 투쟁에 앞장선 여성운동가 케이트 셰퍼드다. 뉴질랜드 국민이 그의 업적을 얼마나 높이 평가하는지 짐작할 만하다.

뉴질랜드 지폐에 그려진 케이트 셰퍼드
1848년 영국에서 태어난 셰퍼드는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뒤 어머니와 함께 영국 식민지이던 뉴질랜드로 이주했다. 여성 전문 신문사인 화이트리본 기자로 일하며 기독교여성금주동맹에 가입해 활동했다. 금주동맹은 술집의 접대부 고용과 청소년에 대한 술 판매를 금지하라고 청원했다. 의회는 거들떠보지도 않았다. 셰퍼드는 참정권이 없으니 여성 목소리를 무시한다고 생각하고 참정권 운동에 뛰어들었다.

셰퍼드는 1888년 의회에 여성 투표권 보장을 탄원했으나 외면당했다. 1891년 9000여 명의 서명을 받아 청원서를 제출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이듬해 2만 명 가까이 청원에 서명하자 하원은 수용한 반면 상원은 거부했다.

1893년 서명자는 뉴질랜드 성인 여성 인구의 4분의 1에 맞먹는 2만5519명으로 늘어났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원이 참여한 이 청원서는 길이가 270m에 이른다.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의회는 여성에게도 선거권을 허용하는 법안을 9월 8일 표결에 부쳐 찬성 20, 반대 18로 가결했다. 글래스고 총독은 9월 19일 법안에 서명했다.

여성이 참여한 첫 선거는 그해 11월 28일 치러졌다. 상당수 남성은 “자연이 정해준 남녀 역할과 경계가 무너지면 큰 혼란이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이날 투표는 역대 선거 가운데 가장 질서정연하게 치러졌다. 일간신문 크라이스트처치프레스는 “여성들의 미소 짓는 얼굴은 기표소를 환하게 밝혔다”고 보도했다.

정작 시민혁명을 통해 근대 민주주의 시대를 연 종주국 영국의 여성들은 뉴질랜드보다 25년을 더 기다려야 했고, 과정도 훨씬 험난했다. 1918년 30세 이상 여성(남성은 21세 이상)에게 허용했고, 10년 뒤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보장했다.

투쟁의 전위대는 1903년 10월 10일 에멀린 팽크허스트가 결성한 여성사회정치연맹이었다. 양대 정당이 연거푸 약속을 저버리자 건물 유리창을 깨부수고 교회에 불을 지르며 거세게 항의했다. 1913년에는 에밀리 데이비슨이 “투표권을 달라”고 외치며 경마장 트랙에 뛰어들었다가 국왕 조지 5세가 소유한 말의 발굽에 밟혀 숨지는 비극도 일어났다.

미국에서는 수전 앤서니가 1872년 11월 5일 대통령선거에서 무단으로 투표해 100달러 벌금형을 받았다. 이후 참정권 운동의 불길이 전국으로 타올랐다. 마침내 1920년 “어떤 주(州)도 성별을 이유로 미국 시민의 투표권을 부정하거나 제한할 수 없다”고 못 박은 수정헌법 19조가 제정됐다. 이른바 수전 앤서니 조항이다.

여성 선거권 보장 130주년을 맞는 뉴질랜드에서는 올 1월 남녀 장관 수가 똑같은 성평등 내각이 처음 탄생했다. 지난해에는 여성 국회의원 수가 남성을 앞질렀다.

한국의 여성 참정권 역사도 75년에 이른다. 여성 장관 비율은 16.7%로 세계 평균(22.8%)에 못 미치고, 여성 의원 비율은 19.1%로 121위에 머물렀다. 아직 갈 길이 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