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우유 ‘흰우유’, ‘저지방우유’, ‘딸기우유’, ‘초코우유’ 등 200㎖ 제품은 950원에서 1000원으로 50원 오른다. 흰우유 1ℓ 제품은 2700원에서 2850원으로 150원, 흰우유 1.8ℓ는 4900원에서 5200원까지 300원 오른다. 비요뜨와 초코링 등 관련 유제품도 1400원에서 1500원으로 100원 인상된다.
서울우유는 “이번 가격 인상은 지난 2018년 이후 3년 만에 시행되는 것”이라며 “그간 누적된 부자재 가격, 물류 비용 및 고품질의 우유 공급을 위한 생산비용 증가 등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결정됐다”고 설명했다.
동원F&B는 오는 6일부터 우유 가격을 평균 6%대로 인상한다. 대표 제품 ‘대니쉬 더(THE) 건강한 우유’(900㎖·2입) 가격은 4480원에서 4780원으로 6.7% 비싸진다.
매일유업은 이달 7일부터 4~5%대 가격 인상에 나선다. ‘매일우유’, ‘소화가 잘되는 우유’ 등 관련 유제품의 가격이 오르게 된다.
남양유업은 이달 둘째 주 가격 인상을 단행할 예정이다. 빙그레 역시 우유 판매 가격을 인상하기로 결정하고, 현재 인상폭과 시점 등을 조율하고 있다.
유업계의 이번 유제품 가격 줄인상은 지난달 낙농업계에서 단행한 원유(原乳) 가격 인상에 따른 후속 조치다. 원유 가격은 지난 8월 공급분부터 리터 당 926원에서 947원으로 21원(2.3%) 올랐다. 지난 2018년 이후 3년 만의 인상이다.
원윳값 인상으로 우유와 치즈 등 유제품 가격 인상뿐 아니라, 빵과 커피 등 관련 식료품 가격도 줄줄이 도미노처럼 오르는 이어지는 이른바 ‘밀크플레이션’(우유+인플레이션)이 현실화될 전망이다.
실제 커피 업계에서는 이미 음료 가격 인상 전망이 나오고 있다. 국제 커피 원두 가격이 지난해부터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는데다, 카페라떼 등 관련 음료에 들어가는 우유와 유제품 가격 인상이 본격화됐기 때문이다.
베이커리 업계에서도 제과 제품의 가격 인상 압박 요인이 거세지고 있다. 최근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 여파에 따른 달걀값 상승에 이번 우유와 버터 등 유제품 가격 인상 부담까지 더해지면서다. 결국 커피와 빵, 아이스크림 등 관련 제품들의 가격 줄인상도 ‘시간 문제’라는 것이다.
|
LG생활건강은 이날부터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코카콜라음료와 해태htb 등 주요 음료 브랜드 제품 36종 가격을 평균 5.9% 인상했다.
품목별로는 ‘스프라이트’ 캔(250㎖)이 1400원에서 1500원으로 7.1%, ‘환타 오렌지’ 캔(250㎖)은 1200원에서 1300원으로 8.3% 올랐다. ‘파워에이드 마운틴’ 캔은 10%, 페트병 음료인 ‘토레타’는 5.6% 비싸졌다. 다만 지난 1월 가격 인상을 한차례 단행했던 ‘코카콜라’와 ‘씨그램’은 이번 인상 품목에서 빠졌다.
해태htb의 ‘갈아 만든 배 사이다’(500㎖)는 2000원에서 2100원으로 5%, ‘코코팜화이트’(240㎖)도 1000원에서 1100원으로 10%, ‘썬키스트 모과’(280㎖)는 1600원에서 1700원으로 6.3% 오른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이번 가격 인상은 글로벌 시장에서 레진(페트), 알루미늄, 원당 등 주요 원·부자재의 가격이 연초 대비 30% 이상 상승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웅진식품도 이달부터 주요 제품 편의점 가격을 평균 7.7% 인상한다. 2012년 이후 약 9년 만의 가격 인상이다. 대표 상품 ‘하늘보리’ 페트(500㎖) 가격은 1500원에서 1600원으로 6.7%, ‘초록매실’과 ‘아침햇살’ 병(180㎖)은 각각 1200원에서 1300원으로 8.3% 오른다.
롯데칠성음료는 지난 2월부터 일부 음료 제품 가격을 최대 8.9% 인상하는 등 총 16개 음료 브랜드 제품 가격을 조정했다. 지난 2015년 1월 이후 약 6년 만의 조치다. 가격이 오른 브랜드는 총 14개로 ‘칠성사이다’(6.6%), ‘펩시콜라’(7.9%), ‘마운틴듀’(6.3%), ‘밀키스’(5.2%), ‘레쓰비’(6%), ‘핫식스’(8.9%), ‘트레비’(6%), ‘아이시스8.0’(6.8%) 등이 평균 7% 올랐다.
한 업계 관계자는 “우유 가격 인상 현실화로 유제품을 활용하는 모든 관련 제품 가격 조정이 불가피해진다”며 “원·부자재 가격 상승세 지속으로 기타 식음료값도 줄줄이 오르면서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