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6일 기술기업 및 스타트업 전문 미국 시장조사기관 씨비인사이트(CB Insights)의 글로벌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국가별 유니콘 기업 배출과 투자 생태계 현황을 분석했다. 유니콘 기업이란 기업가치 10억달러(약 1조1700억원) 이상의 비상장기업을 말한다.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타격으로 인한 어려움 속에서도 올해 1~7월 291개의 글로벌 기업이 유니콘으로 새로이 등극했다. 이 중 미국기업이 58.1%(169개), 중국기업이 8.9%(26개)를 차지했다. 한국은 단 2개사(마켓컬리, 두나무)만 유니콘 기업으로 등극했다.
올해 신규진입한 기업 포함 총 779개의 글로벌 유니콘 기업이 존재한다. 보유순위로 집계한 세계 5강 국가는 △미국(388개) △중국(157개) △인도(36개) △영국(31개) △이스라엘(18개) 순이었다. 미국·중국이 전체 유니콘 기업의 70%를 보유한 가운데 한국은 1.4%(11개)를 보유해 세계 10위로 집계됐다.
미래를 지배할 유망산업을 짐작할 수 있는 유니콘 산업분야 톱 5는 △핀테크 △인터넷 소프트웨어·서비스 △전자상거래 △인공지능(AI) △헬스 순이었다. 미국· 중국이 톱5 산업분야 유니콘 기업의 62.8%(332개)를 점유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AI와 인터넷 소프트웨어·서비스 분야 진출이 없어 기타산업 등 상대적으로 비유망 분야에 편중돼 미래형 산업 진출에 제한적이었다.
스타트업에 대한 글로벌 투자현황(2018~2020년)을 살펴보면 미국과 중국이 전 세계 투자금액의 72.8% 이상을 유치한 가운데 한국은 1.5%에 그쳤다. 한국과 투자유치 규모가 유사한 이스라엘은 유니콘 기업 배출 숫자상으로 세계 5강(18개)일뿐만 아니라 사이버안보, AI, 핀테크 등 첨단분야에 집중돼 있어 한국과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韓스타트업, 초기투자 비중 컸지만 중·후기투자 작아
투자 규모와 단계별 분석을 살펴보면 1억달러(약 1170억원) 이상 대형투자에 한정할 경우 미국과 중국이 유니콘 기업의 79.6%를 유치했다. 반면 한국은 1.1%에 머물렀다. 특히 지난 3년간의 글로벌 대형투자 유치(1억달러 이상) 총금액은 중국(1482억5000만달러)이 미국(1481억7000만달러)을 앞질렀다. 단계별 투자의 경우 한국은 세계 5강과 비교해 스타트업의 초기투자 비중은 컸지만 성장기 스타트업의 레벨업에 필수적인 중·후기투자 비중이 작아 스타트업이 유니콘 기업으로 도약하는 과정에서 탄력을 받지 못했다.
|
|
그러면서 “한국이 더 많은 유니콘 기업을 배출하기 위해 대형투자와 중·후기투자 규모를 확대해 성장기 스타트업을 유니콘으로 도약시키는 모멘텀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며 “M&A 엑시트가 활성화돼 투자금 회수와 재투자의 선순환 생태계가 구축돼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이를 위해 국내 대기업 자본이 벤처투자에 활용될 수 있도록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CVC)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