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 천년’ 7개 산사, 세계문화유산에 오르다… ‘막판 뒤집기’

이정현 기자I 2018.07.02 06:00:00

통도사 등 7개 사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4개 산사 등재 권고에서 모두 등재로
천년 한국 불교 역사 이어온 지속성 높게 평가
정부 사찰 민간단체 힘 합쳐 이룬 쾌거

대흥사 천불전(사진=문화재청)
법주사 팔상전(사진=문화재청)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천 년 넘게 우리 불교문화를 계승해온 전국 7개 사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일부 사찰만 등재할 뻔했으나 ‘막판 뒤집기’로 모두 이름을 올리게 됐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결정하는 세계유산위원회는 지난 30일 바레인의 수도 마나마에서 열린 42차 회의에서 통도사(경남 양산), 부석사(경북 영주), 봉정사(경북 안동), 법주사(충북 보은), 마곡사(충남 공주), 선암사(전남 순천), 대흥사(전남 해남) 7개 사찰로 구성된 한국의 산사를 세계유산 중 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의 13번째 세계유산이다.

세계유산위원회는 해당 사찰이 7~9세기 창건 이후 현재까지의 지속하며 한국 불교의 깊은 역사성을 담고 있다며 세계유산 등재 조건인 탁월한 보편적 기준에 해당한다고 평가했다.

7개 사찰은 지난 2013년에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되었으며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신청서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제출됐다. 이후 1년 반 동안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의 심사를 받았다. 지난 5월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연속 유산으로서의 선정 논리 부족 등을 이유로 통도사·부석사·법주사·대흥사 등 4개 산사만을 등재할 것을 세계유산위원회에 권고한 바 있다.

하지만 등재 결정 논의 과정에서 위원국인 중국이 7개 산사 모두를 등재할 것을 제안했고 21개 위원국 중 17개국이 공동 서명하였고, 20개 위원국이 지지발언을 하는 등 전체 위원국의 지지로 성공적으로 등재했다. 7곳 모두를 한데 합쳐야 제대로 된 유산의 가치가 있다는 의견에 합의했다.

문화재청과 외교부, 지자체를 비롯한 우리 정부와 해당 사찰, 산사세계유산등재추진위원회 등은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의 권고가 나온 후 7개 사찰을 한꺼번에 등재하기 위해 세계유산위원국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교섭을 벌였으며 중국을 비롯한 위원국이 모두 이에 동의하면서 막판 뒤집기에 성공했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비지정문화재까지 포함하여 산사 내 모든 구성요소에 대한 보다 강력한 보존과 보호관리를 주문했다.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건물 관리 방안, 종합 정비 계획, 앞으로 늘어날 관광 수요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사찰 내 건축물을 지을 때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와 협의할 것을 권고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중앙 정부와 대한불교조계종, 지자체가 합심해 세계유산 등재라는 성과를 이뤘다”며 “산사가 지닌 세계유산 가치가 잘 보존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유네스코가 지정하는 세계유산은 보존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인류의 보편적인 유산을 말한다. 1960년 이집트가 아스완 댐을 만들면서 누비아 유적이 사라질 위기에 처하자 전세계 60여개국이 나서 아부심벨 대신전을 다른 곳으로 옮기면서 필요성이 제기됐다.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이번에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산사를 포함해 석굴암과 불국사, 종묘, 해인사 장경판전, 창덕궁, 수원 화성, 고창·화순·강화 고인돌유적, 경주역사유적지구,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조선 왕릉, 하회·양동 마을, 남한산성, 백제역사유적지구 등이다.

통도사 금강계단(사진=문화재청)
선암사 대웅전(사진=문화재청)
부석사(사진=문화재청)
봉정사 만세루(사진=문화재청)
마곡사(사진=문화재청)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