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 크렘린궁도 성명에서 같은 내용을 언급하며 “흑해 협정 이행을 보장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25일 소셜미디어에서 성명을 통해 이와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3국 간 합의 내용을 밝혔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흑해에서의 안전한 항해를 보장하고, 무력 사용을 배제하며 상선이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하자는 데 동의했다.
양국은 또 상대국의 에너지 시설에 대해 공격을 상호 금지하기로 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키로 했다. 양국은 특히 ‘에너지 및 해양 분야에서 합의 이행을 도울 제3국(미국)의 중재’를 모두 받아들이기로 했다. 미국이 중재자로서 부분 휴전의 감시 및 강제 역할을 하겠다는 뜻이다.
성명은 또 “미국은 전쟁 포로 교환과 민간인 억류자 석방, 강제 이주된 우크라이나 아동의 귀환을 지원하겠다는 점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합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주도로 시작된 협상의 결과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모두와 각각 통화하면서 합의점을 모았다. 이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국은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공격을 30일간 중단하고 흑해에서 교전을 중단하는 부분 휴전 방안을 놓고 미국 중재로 지난 23일부터 실무 회담을 벌여왔다.
러시아는 흑해 안전 항해보장 등 합의사항은 러시아의 농산물·비료 수출에 대한 금융 제재가 해제되고 국제 결제 시스템(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연결이 복원된 뒤에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협의 결과를 이행하기 위한 전제 조건을 내건 것이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이날 자국 TV 매체 인터뷰에서 “미국과 회담에서 흑해곡물협정 재개 문제가 주요 의제로 다뤄졌지만, 이 협정을 재개하려면 합의를 이행한다는 확실한 보증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런 보증은 미국이 젤렌스키에게 (합의를 준수하라는) 명령이 있어야 가능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