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남·이대녀 진단]ⓛ“20대 표심 잡아라” 차기대선 앞두고 與野 ‘갑론을박’

이성기 기자I 2021.04.30 06:00:00

민주당, 1년 전 총선 대비 20대 지지율 `반토막`
국민의힘, 반사이익 불과한 지지율 유지 고심
기성 정당 20대 3인 "목소리 경청이 우선"

[이데일리 이성기 박태진 김정현 기자] 4·7 재·보선 이후 `20대 표심`을 둘러싸고 정치권 안팎에서 갑론을박이 한창이다. `20대=진보 성향`이란 이분법적 공식은 깨진지 오래고, 세대 내 성별 간에도 표심이 크게 엇갈리면서 `이대남`(20대 남성) `이대녀`(20대 여성)이란 말까지 등장했다. 분명한 것은 지난해 4·15 총선에서 압승했을 때와 달리 현재는 20대가 여권에 등을 돌렸다는 점이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의 조사 결과 4·15 총선 직전인 주간 조사(2020년 4월 13~14일)에서 20대(18~29세)의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44.2%를 기록한 반면,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은 25.3%의 지지율을 얻는 데 그쳤다.

1년 뒤 치러진 4·7 재·보선에선 달랐다. 같은 기관의 4월 1주차(5~9일) 조사 결과, 20대의 민주당 지지율은 21.3%였고 국민의힘은 37.1%였다. 민주당 입장에선 1년 새 20대의 지지율이 반토막 난 셈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28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비대위-전국청년당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반성`…국민의힘 `경계`

발등에 불이 떨어진 더불어민주당은 20대 민심을 되돌리기 위한 구애에 한창이다. 이들의 마음을 얻지 않고선 1년도 채 남지 않은 내년 대선에서 정권 재창출의 희망이 물거품이 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윤호중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28일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청년세대의 고민과 아픔은 시대의 고민과 아픔”이라며 “청년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못한다면 우리 사회의 미래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주말 대구를 찾아 청년들과 2030 간담회를 진행한 윤 위원장은 올해 3월 공식 출범한 전국 청년당과의 대화의 장도 마련했다. 윤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청년의 목소리를 잘 수렴하고 정책으로 잘 만들어 내달라”면서 “정치와 청년의 거리를 좁혀달라”고 당부했다.

청년기본법 통과 1주년을 기념해 출범한 청년당 청년정책연구소(소장 홍정민)는 `청년이 강한 대한민국, 청년이 강한 민주당`이라는 슬로건에 맞게 교육, 경제, 주거, 문화, 결혼과 출산 및 육아에 이르기까지 청년기의 적재적소에서 합리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반사 이익`에 불과하단 점을 아는 국민의힘 역시 고심 중이긴 마찬가지다. 초선부터 중진까지 정권 교체를 위해서는 20대의 표심을 잡기 위한 대책이 절실하다는 데 입을 모으고 있다. 원내대표 경선에 나선 후보들(김태흠·유의동·김기현·권성동 의원)도 앞다퉈 청년을 위한 정책기구를 만들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당권 도전 의사를 시사한 김웅 의원(서울 송파갑)은 공천권을 통한 청년 활동 보장을 약속했다. 그는 지난 22일 `더 좋은 세상으로`(마포 포럼) 강연에서 “`청년 정당``따뜻한 보수`가 되겠다고 하는데 그 어떤 정책보다 공천이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며 “청년이 와서 직접 정치를 하게 해야 청년 정당이 되는 것이고, 청년의 관심을 유지시킬 수 있다. 공천으로 보장하는 게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하태경 의원 등 당내 현역 의원들이 주축인 `요즘것들 연구소`도 청년 세대들과 접촉면을 늘리고 있다.

지난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청년정의당 창당식에서 여영국 대표(왼쪽부터), 류호정 의원, 강민진 청년정의당 대표, 장혜영 의원, 강은미 원내대표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치권 20대들 “제대로 된 진단이 먼저…답은 현장에”

여의도 정치권에 직접 몸담고 있는 20대들은 기존 정치권의 진단과 처방이 여전히 핵심에서 비켜나 있다고 입을 모은다.

20대 민심 이반의 원인을 `벼락 거지` 현상에서 찾은 박영훈 민주당 전국대학생위원장은 “지금의 20대로 살아본 적 없는 50·60대가 자꾸 가르치려 든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당사자성(當事者性)이 부족한 상태로는 공감 능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얘기다.

곽희근 국민의힘 중앙대학생위원회 수석부위원장은 국민의힘이 일시적인 승리에 도취되는 것을 경계했다. 특히 최근 당내 일각에서 제기되는 전직 대통령 사면 주장은 적절치 않다고 강조했다. 곽 부위원장은 “젊은층일수록 사면에 대해서 부정적”이라며 “표심이 확 돌아섰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강민진 청년정의당 대표는 “남녀에 따라 투표한 정당은 서로 달랐지만, 결국 분노하고 절망한 청년 세대의 좌절감이 투표로 감지됐다는 점에서 동일하다”고 진단했다. 몸 담고 있는 정당에 따라 관점은 조금씩 달랐지만, 20대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것이 우선이란 데에는 이견이 없었다.

이재명 경기지사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우리 정치가 청년 세대를 있는 그대로 직시하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이 지사는 “열심히 일해서 대출받아 집 사고 결혼하는 공식은 이미 깨진 지 오래”라며 “사회의 성장판이 예전같지 않아 선택지는 줄었고 부모의 재력에 따라 미래가 결정되는 `세습 자본주의`가 심화되었다. 노동해서 버는 돈으로는 치솟는 집값을 감당할 수 없으니 주식과 비트코인에 열중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회의 총량이 적고 경쟁이 치열해지다 보니 그만큼 불공정에 대한 분노는 심해질 수밖에 없다”면서 “세대 갈등도 성별 갈등도 이런 시대적 환경 조건과 맞물려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리 이 지사는 “청년 세대는 `공정`을 원하지 `특혜`를 원하고 있지 않다”면서 “근본적인 해결책은 지속 가능한 성장의 동력을 다시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