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미분양 중에서도 다 짓고도 안 팔리는 악성 미분양(준공후 미분양) 10곳 중 8곳이 지방에 몰리며 늘어가는 금융 이자를 감당하지 못해 부도나 폐업 위기에 내몰린 지방 건설사들이 늘고 있다.
20일 국토교통부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전국 1만 8644가구로 2020년 7월 이후 약 4년 4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이중 지방 악성 미분양 물량은 총 1만 4802가구로 전체의 79.4%에 달했다. 2022년 말 6226가구였던 지방 악성 미분양 주택은 2023년 말 8690가구로 늘어난 뒤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악성 미분양 증가로 지방 건설사들은 공사비를 제때 못 받아 유동성이 급격하게 악화 되며 부도나 폐업위기로 내몰리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부도를 신고한 건설업체는 30곳으로 이 중 83.3%(25곳)는 지방 소재 기업이었다. 전체 부도 신고 업체 수도 2019년 49곳을 기록한 이후 5년 만에 최대를 나타낸 수치다.
건산연은 보고서를 통해 “2023년 이후의 지속적인 건설 수주 감소와 부동산 시장 침체 장기화, 공사비 상승 등으로 인해 건설 기업의 재무 상태가 크게 악화했다”면서 “특히 수도권보다 지방 중소 건설 기업은 부도나 폐업 위기에 직면한 곳이 더 많은 상황”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때문에 정부는 지방 건설사를 중심으로 줄도산 사태를 막기 위해 지방 미분양 아파트에 대한 세제혜택 강화 등 수요 진작 정책을 내놓고 있다.
정부는 올해부터 1주택자가 지방의 악성 미분양 주택을 구입할 경우 양도소득세·종합부동산세를 산정할 때 1세대 1주택 특례를 적용하기로 했다. 1주택자가 지방 악성 미분양 주택을 구입하면 다주택자로 보지 않고 1주택자로 인정해 1주택자가 받을 수 있는 세제 혜택을 그대로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다만 시장에선 실효성에 대해선 기대가 크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해 정부는 지방 미분양 해소를 위해 기업구조조정 리츠(CR리츠)까지 부활시켰으나, 기대만큼 시장 반응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분양 업계 관계자는 “서울과 수도권 집값도 떨어지고 있는 상황인데 세제 혜택으로 몇백에서 몇천만원 이득을 본다고 한들 지방 악성 미분양 아파트를 구매하려는 수요가 얼마나 있을지 의문”이라며 “수요 진작 정책도 필요하지만 건설사들의 숨통이 트이도록 금융 지원도 동반돼야 버틸 수 있는 사업장은 버티지 않겠냐”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