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계부채 증가 등 ‘금융안정’에서 불확실한 측면이 있지만, ‘물가’와 ‘내수 성장’ 차원에서 금리를 인하할 여건이 갖춰졌다는 분석이다. 더욱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달 ‘빅컷’(금리 50bp 인하)을 단행, 금리 인하기에 들어가 한은이 ‘피벗’(pivot·통화정책방향 전환) 부담을 덜었다고 판단됐다.
특히 전문가들은 지난달 25일 신성환 금통위원의 기자간담회 발언에 주목했다. 신 위원은 당시 “가계부채가 확실히 둔화할 때까지 기다릴 여유가 없다”라는가 하면 “(최근) 데이터는 개인적인 우려를 줄여주는 형태로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신 위원이 한 달 전 미국 잭슨홀 회의에서 “집값이 계속 상승하는 극단적인 상황에선 금리를 올려야 할 수도 있다”고 한 발언에 비해 완화적인 입장을 보였다는 평가다.
일단 한은이 금리를 못 내리는 배경으로 꼽히던 가계부채와 집값 상승세는 지난달 둔화했다. 추석 연휴 영향이 있기에 ‘추세적인 안정’인지는 의문부호가 붙지만, 정부의 거시건전성 정책이 효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위원은 “4월 이후 급증한 가계부채와 서울 및 수도권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른 금융안정을 이유로 금리 인하 신중론이 부각됐다”면서 “지난달 대출규제 이후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주춤해졌고, 신 위원 같이 금융안정을 강조하던 금통위원조차 현재 제약적 금리 수준에 대한 부담을 강조할 정도로 이달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졌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