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딩크'향한 사회적시선 쉽지 않아...출산 고민한다면 ‘낳아라’ 조언”[ESF 2023]

이다원 기자I 2023.06.16 05:10:00

이데일리 전략포럼 연사 김금희 작가 인터뷰
육아와 일 병행 어렵다고 판단, 딩크족 선택
가사노동 상대적으로 적어, 커리어 확대 유리
아이없는 삶의 고독감과 사회적 시선 부담 커
세대간 넘어 사회서 다양성에 대한 포용력 길러야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이 사회에서 아이를 낳지 않고 산다는 것은 심리적으로 쉬운 일은 아닙니다. 아이 없이 사는 부부들은 일종의 사회적 소수자로 받아들여지고 아이가 없는 가족 형태에 대한 고독감도 상당하거든요. 만약 제게 ‘아이를 낳아야 하느냐, 않아야 하느냐’의 질문을 던진다면 ‘낳으라’라고 말할 겁니다. 물론 고민한다는 것 자체가 낳을 마음이 있는 것이기도 하니까요”

김금희 작가. (사진=블러썸크리에이티브)
세련된 문체로 사회적 이슈를 재조명하며 현 문학계를 휘어잡은 김금희 작가. 그는 대한민국 대표 여성 작가이자, 보수적인 대한민국에서 딩크족의 삶을 사는 여성이기도 하다. 그는 이런 선택을 후회하지 않지만 불편한 사회적 시선에 대한 부담감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말한다. 보편적 가족의 형태를 벗어나 다양한 가족을 인정해주는 문화와 세대 간 이해를 넓혀야 새 인구에 대한 기대를 할 수 있다고 본다.

김금희 작가는 15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를 통해 ‘딩크(Dink, 의도적으로 자녀를 두지 않은 맞벌이 부부)’의 삶을 선택한 이유와 그간의 삶에 생각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털어놨다. 김 작가는 “가부장적인 집안에서, 어릴 때부터 숨 막히는 관리를 받으며 자라다 보니 아이 없이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일도 바쁘기도 했지만, 아이 키우는걸 감당할 수도 없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글을 많이 쓰게 된 것도 육아라는 일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그 시간을 노동력에 쏟아부을 수 있었던 것 같다”며 “현재 여성들이 자기 경력 등을 생각했을 때 결혼이나 육아를 하고 싶지 않다는 게 너무 이해가 간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딩크에 대한 한국 사회 속 시선은 감당하기 어려웠다. 김 작가는 “아이를 낳지 않고 산다는 건 일종의 사회적 소수자처럼 받아들여진다”며 “아이가 없는 것만으로도 결함을 의심하는 시선을 받게 되서다”고 설명했다.

또 “보편적인 형태의 가족을 만들지 못했다는, 일종의 채우지 못한 고독감도 존재한다”며 “그래서인지 주변에서 아이를 낳을지 말지를 고민하며 조언을 부탁할 때 ‘낳으라’고 권하는 편이다. 고민 자체가 낳고자 하는 마음이 있는 것에 가깝기도 하고, 고독감과 불편한 사회적 시선을 견디고 갈 자신이 있으면 모를까, (딩크의 삶은) 쉽지 않은 선택”이라고 조언했다.

김금희 작가. (사진=블러썸크리에이티브)
그렇기에 김 작가는 보편적 인식에 얽매여 타인의 행복을 재단할 것이 아니라 다양함을 인정하며 포용력을 기르는 사회가 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래야 젊은 세대들의 출산에 대한 생각도 높아진다는 설명이다. 그는 “우리가 출산율과 가족의 해체를 걱정하는 근원적 이유도 개인의 행복 때문 아니겠느냐”며 “그렇다면 행복을 재단하는 데 힘쓰지 말고 행복을 다양화하고 열어주는 데 힘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언젠가 카페에서 어떤 어르신들이 ‘요즘 애들은 핸드폰도 갖고 들어간다’며 불만을 토로한 걸 본 적이 있다”며 “다른 세대가 다른 식의 어떤 자유를 누리는 것을 아까워하고, 못마땅해하고 하는 분위기가 느껴졌다”고 했다.

그러면서 “(출산이란 게) 돈 더 주고 애 하나 낳으면 얼마를 더 주고 이런 걸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고 본다”며 “기성세대는 물론 사회가 다양성을 포용할 준비가 돼 있지 않다면 ‘내 자식이 당장 어떤 타격을 입을지 모르는 데 안 낳고 말지’라고 생각할 것”이라고 전했다.

경직된 사회가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포용하지 못하면서 고독이나 불안을 느끼는 사람들도 늘어날 수 있다. 김 작가는 “가족의 스펙트럼이 넓어진다면 이를 환영하고 법률적으로 지지해줘야 하는데 그것도 잘 안되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어 “달라진 가족을 존중해야 아이를 낳는 것에 대한 부담을 덜고 새로운 세대에 대한 기대는 커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작가는 이데일리 전략포럼 첫째날 제너레이션포럼1의 패널로 참석해 이같은 이야기를 들려줄 예정이다. 아울러 소설과 문학의 힘을 빌려 다양한 모습의 가족의 모습을 이를 풀어낼 예정이다. 각기 다른 삶의 양태를 듣고 이를 글로 옮겨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넓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김 작가는 “소설이란 작업은 결국 ‘다른 사람을 이해하자’는 큰 목표를 두고 있다. 우리가 소설을 읽는 이유기도 하다”며 “문학이 하는 일이 그런 것으로 생각하고 이런 경직된 것들을 풀어내는 역할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김금희 작가는 △1979년 부산광역시 출생 △인하대 국어국문학 학사 △2009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소설 ‘너의 도큐먼트’로 등단 △2016년 젊은작가상 대상 △2020년 김승옥문학상 대상

제14회 이데일리 전략포럼

- “베이비붐 은퇴 대비 고령자 정책 시급…정년 연장 대화로 풀어야”[ESF 2023] - "'노인 딱지' 안돼…경험·구매력 갖춘 '고급 소비자'"[ESF 2023] - "뇌졸중 증상 테스트 '이웃손발시선' 기억하자"[ESF 2023]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