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단장은 최근 대전 사무실에서 진행한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조만간 사업단의 정식 출범식을 개최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
정부도 올 들어 독자 SMR 개발에 팔을 걷어붙였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는 2028년까지 3992억원을 투입해 i-SMR 표준설계에 대한 인·허가를 마친다는 목표로 i-SMR 기술개발사업단을 출범시켰다. 지난 20여년 간 한국형 원전 개발을 주도해 온 김한곤 전 한수원 중앙연구원장이 단장을 맡았다.
김 단장은 “i-SMR을 상용화하면 안정성, 경제성, 탄소중립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i-SMR 건설은 통상 4~5년이 걸리는 만큼 2028년 인·허가와 동시에 건설에 착수한다면 빠르면 2032년께 가동이 가능하다.
|
경제성 면에선 기존 원전보다 불리하지만, 기술 발전으로 보완 가능할 것으로 봤다. 김 단장은 “i-SMR은 규모만 줄이는 것이 아니라, 인공지능·원격운전 등 최신 기술을 접목한 것”이라며 “최근 전 세계적으로 SMR 개발 움직임이 빨라지는 것은 경제성 확보를 위한 기술력이 확보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단장은 SMR 상용화가 지구온난화 등 기후위기에 대응해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들겠다는 전 세계적 탄소중립 목표에도 결정적 기여를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핀란드, 캐나다, 체코 등에선 탄소중립 규제에 대응해 석탄화력발전소를 SMR로 대체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원전업계는 2030년대 중반에는 세계 SMR 시장이 연 150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사업단은 해외 시장만을 겨냥해 i-SMR을 개발 중이다. 하지만 장기적으론 국내에서도 i-SMR이 활용되는 방식의 정책 변화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김 단장은 “i-SMR의 국내 도입 가능성을 언급하는 건 시기상조이지만 수용성 측면에선 기존 원전보다 i-SMR이 훨씬 접근하기 쉬울 수 있다”면서 “특히 기술력을 가진 우리가 부지 선정 등의 어려움을 무릅써가며 해외 SMR을 수입할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