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은 현대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완전한 치료가 힘든 만성 질환 중 하나이다.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이 특징이다. 높아진 혈당을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철저한 식이요법과 더불어 약물치료로 경구혈당강하제를 복용하거나 인슐린 주사를 투여한다.
모든 당뇨병 환자들이 반드시 약물치료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 식이요법 만으로도 혈당 조절이 가능한 경우도 있으며, 적절한 식사조절 만으로 목표 혈당치에 도달하지 못할 때에는 경구혈당강하제나 인슐린 주사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들 가운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바로 ‘저혈당증’이다.
저혈당증은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저하되어 일어나는 전신 현상으로 빈맥(맥박수 증가), 식은땀, 불안감, 배고픔, 구역질, 손 떨림, 얼굴이 창백해지는 현상 등의 자율신경항진 증상들과 어지러움, 두통, 기력 악화, 시력 변화, 정신 집중력 약화, 의식 혼미 등의 신경당결핍 증상들이 나타난다. 또한 사람의 뇌신경세포는 혈중 포도당을 유일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데, 심한 저혈당은 뇌세포의 기능 저하나 파괴를 일으키고, 응급 처치가 적절히 이뤄지지 못한 경우에는 환자의 영구적인 신체 불구와 함께 뇌사 상태에 빠지거나 사망할 수도 있다.
보통 당뇨 식이요법 만으로 혈당 조절 중인 환자들에게서는 저혈당증이 발생하기 힘들다. 그러나 경구혈당강하제 또는 인슐린을 부적절한 용량으로 투여한 경우나 식욕 부진 혹은 불규칙한 일상 생활 등으로 인해 적절한 시간에 충분한 음식물 섭취가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에는 저혈당증이 일어날 수 있다.
대부분 저혈당증은 환자 스스로가 증상을 인식하고 신속하게 당분을 섭취할 경우 별다른 후유증 없이 회복될 수 있다. 특히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식생활 습관을 개선하고 의사의 진료를 통해 약제의 투여 용량을 조절해야 한다. 보통 심한 저혈당증은 오랫동안 당뇨병을 앓아온 환자, 그리고 스스로 저혈당 증상을 감지하고 대처할 수 없는 노인 환자나 청소년, 낮은 경제 수준에 처해 있는 환자, 과거에 심한 저혈당증을 경험한 환자 등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약제 사용과 탄수화물 섭취, 그리고 신체적 운동 간의 상호 균형이 필수적이나 일상 생활에서 잘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 이유는 상당수의 당뇨병 환자들이 오로지 당뇨병 조절만을 위한 생활을 지속할 수 없는 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특히 인슐린 투여만으로 혈당조절 중인 청소년, 식사 시간이 불규칙적인 직업을 가진 환자, 경제적으로 궁핍한 상황에서 가족들의 부양을 받지 못하는 노인 환자들에게서 심한 저혈당증이 자주 발생한다.
한제호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만성 당뇨병성 합병증으로 생긴 뇌혈관 질환을 앓고 있는 고령 환자가 지속적으로 경구혈당강하제를 복용하거나 인슐린 주사를 투여하고 있으면서 적절한 식사를 하지 못하는 상태가 지속되면 심한 저혈당증이 일어나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심한 저혈당증이 한밤 중 수면 중에 발생해 아침에 환자가 잠에서 깨어나지 못하고 이러한 상황을 가족이나 주위 사람들이 빨리 발견하지 못할 경우 환자는 영구적인 뇌 손상을 받게 되거나 이미 사망한 상태로 응급실로 이송 되기도 한다.
저혈당증 예방은 경구혈당강하제를 복용하거나 인슐린을 투여받는 당뇨병 환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우선 환자 자신들이 병원에서 실시하는 당뇨병 교육에서 당뇨 식사조절 방법과 저혈당증 예방 등에 관한 교육에 참가해 정확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실제로 일상 생활에서 적절한 당뇨 식이요법을 실천하고 자가혈당 측정을 통해서 자신의 혈당 수치를 정기적으로 측정해 혈당조절 정도를 평가해야 한다.
당뇨병 환자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들을 포함한 주변 사람들의 정성 어린 관심도 필요하다. 한제호 교수는 “환자가 처해 있는 일상적인 생활에서 같이 활동하는 주변 사람들이 환자의 혈당 조절 정도를 포함한 정보를 공유하고 환자의 혈당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을 최소화하는 데 자발적으로 동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