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서울 구로구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이하 협력재단) 사무실에서 만난 김순철 사무총장은 “지난달 대기업·공공기관 임원들을 대상으로 한 상생협력 간담회를 가졌는데 중소기업 맞춤형 제안과제에 대한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며 이 같이 밝혔다.
김 총장은 중소기업청(현 중소벤처기업부) 차장(1급) 출신으로 관료 퇴직 후 신용보증재단중앙회장을 역임하다 지난 2월부터 4대 협력재단 사무총장으로 취임했다. 1984년 경제기획원 사무관으로 시작한 오랜 관료 생활을 통해 중소기업 정책 전반을 두루 경험한 이 분야 전문가다.
김 총장은 취임하자마자 대기업들과 접촉해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공을 들여왔다. 성과공유제, 협력이익공유제 등과 관련해 대기업들의 오해를 해소하고 효율적인 적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지난달 대기업과의 간담회에서 확대 필요성이 대두된 중소기업 맞춤형 제안과제는 중소기업이 특정 수요기업(대기업) 또는 업종을 선택해 과제를 제안, 연계하는 사업이다. 혁신형 성과공유 과제 발굴을 위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됐다.
김 총장은 “중소기업 맞춤형 제안과제 적용에 대한 현실적인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꼈다”며 “이에 대기업이 현장에 맞는 수요기술을 선(先)제시하고, 중소기업 관련 기술을 제안하는 방식으로 매칭률을 높이는 등의 실효성 제고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협력이익공유제 확산을 위해서도 다양한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 김 총장은 “홈쇼핑과 IT기반의 플랫폼을 만드는 등 업종별 특성을 반영한 협력이익공유제 확산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 중”이라며 “조만간 협력이익공유제 도입 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협력재단은 지난해 법 개정으로 상생결제가 의무화됨에 따라 지난 4월부터 상생결제 이행점검도 실시하고 있다. 김 총장은 “상생결제로 대금을 지급 받았지만 하위 기업에게 상생결제로 대금을 지급한 실적이 없는 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서류 점검을 진행 중”이라며 “싱태조사가 완료되면 애로사항을 중심으로 상생결제 이용 확산 방안을 중소벤처기업부와 협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근 김 총장은 협력재단내 조직구조 개편에 공을 들이고 있다. 기존 사업 중심이었던 협력재단의 조직 구조를 기능 중심으로 바꿔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복안이다. 예컨대 협력재단내 ‘협력성과확산부’의 경우 성과공유제를 운영하기 위한 부서로, 사업 자체의 변동이 있으면 즉시 영향을 받게 된다. 하지만 개별 사업이 아닌, 기능 중심으로 조직을 개편하면 협력재단내 부서들이 유연하게 더 큰 범위의 정책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김 총장은 “이달 말까제 기능 중심 조직개편을 위해 전 직원들을 대상으로 최근까지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며 “대·중소기업상생협력기금‘(이하 상생협력기금) 사용목적에 따라 협력재단의 기능을 분류하고 이에 부합하는 사업을 ‘그룹핑’해 조직 효율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상생협력 싱크탱크’ 역할 강화를 위해 전담 조직도 신설한다. ‘정책기획부’라는 이름의 조직을 신설해 정책개발 및 사업개발·조사·연구·교육 등의 기능 확대 방안을 논의 중이다. 김 총장은 “대내적으론 경영전략 수립 및 사업부서 조사 분석 업무를 지원하고, 대외적으론 정책 마케팅 역할을 수행해 효과적인 대·중소기업간 상생협력 신사업을 적극 발굴할 계획”이라며 “향후 박영선 중기부 장관에게도 현재 추진 중인 신규 상생협력 관련 정책들을 제안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협력재단은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양극화 해소와 민간기업·농어촌간 상생협력을 위해 2004년 출범한 단체다. 지난해 기준 누적 1조원 규모의 상생협력기금을 운영하는 주체다. 현재 중소벤처기업부 관리감독을 받는 공직유관단체로 분류되며 상생협력기금 운용을 포함해 △기술협력 촉진사업 관리·운영·평가 지원 △수탁기업협의회 구성·운영 및 수·위탁거래 공정화 지원 △농어촌 상생협력기금(누적 552억원) 관리·운용 등의 업무를 맡고 있다. ‘동반성장지수’, ‘적합업종’ 등을 운영하는 동반성장위원회 사무국 역할도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