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속의 섬 ''우도'' 우도봉 남쪽 기암절벽 장관 해식동굴 사이 볕들면 달 뜬 것 같아 수심따라 빛깔 달라지는 홍조단괴 예술같은 건축물 ''훈데르트바서 파크'' 직선 아닌 언덕과 곡선 활용해 조성
세계에서도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우도의 홍조단괴
[우도(제주)=글·사진 이데일리 강경록 기자] 제주도 동쪽 성산 일출봉. 그 남쪽 바다 앞에 덩그러니 떠 있는 섬, 제주도의 8개 유인도 중 하나인 우도(牛島)다. 가장 제주스러운 모습을 간직한, 제주의 속살로 불리는 섬 속의 섬. 이 외로운 섬은 약 180년전 인간에게 터전을 내줬다. 조선 중기인 1843년(헌종 9년) 김석린과 그 일행은 섬의 동남쪽에 정착했고, 그 이후 우도 역사는 기록으로 남겨졌다. 고립의 대명사였던 우도가 근래 들어 영화와 드라마, 그리고 CF 촬영 장소 등으로 이름나면서 자연스레 외지인의 발길이 늘었다. 제주와는 또 다른 서정을 품고 있어서다. 독특한 섬마을 풍경과 아득한 풀밭의 정취, 그리고 푸른 바다와 맞닿은 새하얀 백사장 등. 신은 우도에 세상 어디에도 없는 자연을 선물했다. 그리고 여기에 인간은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붓질을 시작했다.
◇우도봉 아래 펼쳐진 비경을 감상하다
신이 선물한 우도의 매력은 일일이 손에 꼽기 힘들 정도다. 세상 어디에 내놔도 모자람이 전혀 없을 정도로 독특하면서도 독보적이다. 이 풍경에 인간은 ‘우도팔경’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1983년 우도 연평중학교에 재직하던 한 교사의 작품이다. 그는 우도의 자연을 서로 대비되는 네쌍의 풍경으로 표현했다. 우도의 낮과 밤을 ‘주간명월’과 ‘야항어법’이라는 풍경으로, 하늘과 땅은 ‘천진관산’과 ‘지두청사’, 그리고 앞과 뒤는 ‘전포망도’와 ‘후해석벽’, 동과 서는 ‘동안경관’과 ‘서빈백사’를 대표 풍경으로 꼽았다.
우도봉 아래 거대한 석벽에서 낚시를 하고 있는 강태공
후해석벽은 우도봉의 남쪽 아래 바다쪽으로 잘라나간 기암절벽을 가리킨다. 돌의 조각을 차곡차곡 쌓아 올린 듯한 가지런한 단층을 잇는 석벽의 직각 낭떠러지다. 오랜 세월 풍파에 침식되면서 단층 사이마다 깊은 주름살이 패어 있는 모습이 마치 지구의 나이테를 감상하는 듯 감탄을 자아낸다.
기암절벽은 검멀레해안에서 톨칸이해안까지 이어져 있다. 이곳에 주간명월과 동안경굴로 불리는 해식동굴이 숨어있다. 우도봉 아래 파도가 깎아낸 해식동굴. 그 천장에는 둥글게 매달린 커다란 바위가 밖에서 쏟아져 들어오는 햇빛에 비친다. 그 모습이 마치 밝은 대낮에 밝은 달이 뜬 것 같다고 해서 ‘주간명월’이라 불렸다. 실제로 해식동굴에 들어가보면 그 교사의 표현력에 다시 한번 놀라게 된다.
우도봉 걷기길을 걷고 있는 여행객들
검멀레해안 쪽의 기암절벽에는 동안경굴이 있다. ‘고래콧구멍’이라고도 불리는 이 해식동굴은 무려 113m에 달하는 거대한 동굴이다. 과거 커다란 고래가 살았다는 전설이 이름의 유래다. 이 해식동굴은 썰물때 물이 빠진 후에야 들어갈 수 있는데, 깎아지른 해안절벽과 푸른 바다의 파도가 어우려져 더 독특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 기암절벽 위에는 우도의 최고봉인 ‘우도봉’이 있다. 마치 소머리를 닮았다 해서 쇠머리오름이라고도 불린다. 소의 허리처럼 완만한 경사로를 따라 우도봉에 오르면 아기자기한 우도의 풍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특히 주변에 높은 산이 없어 전망이 탁월하다. 정상에 올라 굽어보는 풍경도 낭만적이다.
세계에서도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우도의 홍조단괴
◇각기 다른 얼굴로 매력 넘치는 우도의 바다
신의 붓질은 해안가에도 이어진다. 우도에는 모두 4개의 해변이 있는데, 그 모습이 각기 다른 얼굴을 하고 있다. 서쪽 서광리의 홍조단괴는 신이 오랜 시간 공들여 선물한 해변이다. 홍조단괴는 해조류 중의 하나인 홍조류에 의해 매우 복잡한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홍조류는 빛이 도달하는 얕은 바다에만 사는데, 이 해변의 모래는 홍조단괴의 부스러기가 모여 만들어진다. 홍조단괴의 모래톱이 유난히 새하얀 이유가 이 때문이다. 우도 주민들이 ‘서빈백사’로 칭송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홍조단괴는 수심에 따라 에메랄드 빛깔이 다르게 보여서, 이 모습을 처음 본 사람은 감탄이 절로 나올 정도로 아름답다. 에메랄드빛 바다와 검은 현무암, 그리고 하얀 홍조단괴해빈이 어우러지면서 신비로운 분위기를 연출한다. 홍조단괴는 국내에서도 유일하지만, 세계적으로도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귀한 해변이다. 지난 2004년 천연기념물 제438호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물빛이 아름다운 하고수동 해수욕장
서쪽에 홍조단괴가 있다면 동쪽에는 하고수동해변이 있다. 최근 뜨고 있는 해변인데, 이유는 투명한 바다 색깔로 일명 ‘사이판 해변’으로 불린다. 현무암의 바위무리와 넓은 백사장, 그리고 파란바다와 하늘이 조화롭게 경계를 이뤄 환상적인 모습을 연출한다. 특히 모래가 부드럽고, 수심이 얇아 수십미터 밖으로 나가 안전하게 물놀이까지 즐길 수 있다. 해변 한쪽의 세계 최대 해녀상은 이곳을 찾는 사람들의 포토존으로 인기다.
우도 비양도의 일출 소원성취 의자
하고수동해변 바로 옆에는 비양도가 있다. 제주도 서쪽 한림쪽의 비양도와는 다른, 우도의 부속섬이다. 이곳은 백패커들의 성지로 알려지면서 이름이 났다. 섬내에 화장실 등을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섬 자체가 거의 평지다. 이 작은 섬은 ‘득생곶 등대’와 조선시대 대표적인 군사적 통신수단이었던 ‘봉수대’(망루), 그리고 소원이 이뤄지는 ‘소원성취의자’ 등의 볼거리로 여행객의 발길을 끈다. 특히 비양도 앞은 카페의 천국. 여행객들은 카페 테라스에 앉아 땅콩아이스크림을 먹으며 한적한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
훈데르트바서파크 내 건축물은 자연에는 직선이 없다는 훈데르트바서의 철학처럼 곡선의 미를 돋보이게 설계했다
◇자연에 예술을 더한 ‘훈데르트바서 파크’
신이 우도에 준 선물로 부족했던 것일까. 인간은 신의 작품에 조금 손을 보태기로 했다. 다소 부담스러운 이 일에 손을 보탠 이는 프리덴슈라이히 훈데르트바서(1928~2000)였다. 구스타브 클림트와 에곤 쉴레와 함께 오스트리아 3대 화가로 꼽히지만, 우리에게는 낯선 인물이다. 왜 그였을까? 훈데르트바서의 철학이 우도를 더 돋보이게 할 수 있다는 확신에서다. 그는 ‘인간은 자연에 들른 손님’이라는 개념으로 도심 건축물에 자연의 생명력을 불어넣은 건축가이면서, 건축치료사로 알려진 작가였다. 오스트리아의 ‘훈데르트바서하우스’와 ‘쿤스트 하우스 빈’, ‘바트블로마우’ 등은 그의 예술세계를 잘 나타내 주는 작품이다.
훈데르트바서 파크_자연에는 직선이 없다는 훈데르트바서의 철학을 담았다.
그는 우도에 자신의 이름을 딴 파크를 지었다. 훈데르트바서 파크라는 아시아 최초의 그의 기념관이다. 파크 곳곳에는 그의 철학이 새겨져 있다. 훈데르트바서는 건축물을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승화시켰던 인물. 건축적인 기교에서 다양성을 매우 중요시했다. 파크의 건축물을 받치고 있는 기둥이나 창문 등에 개성과 독창성을 강조했다. 각기 다른 형태를 지닌 78개의 기둥과 131개의 유리창에 화려하고 대담한 색감을 썼다.
훈데르트바서파크 내 뮤지엄에는 훈데르트바서의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바닥도 그냥 평평하지만은 않다. 언덕과 곡선을 좋아하던 훈데르트바서의 방식대로 구불구불 높낮이가 있게 길을 조성했다. 그리고 그 길 끝에는 경이로운 작품들을 만나게 했다. 그 길을 걸으며 전해지는 흙과 돌의 감촉 또한 자연 속의 인간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한다.
마지막으로 파크에는 훈데르트바서의 ‘나무세입자’ 철학을 계승했다. 공사 전 부지에서 자생하던 수목 1600여주를 그대로 옮겨와 옥상 위에 심은 것도 이 때문이다. 자연과 어우러져 하나를 이루는 그의 철학이 돋보이는 장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