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休] 바람의 노래를 듣는 섬 '우도'

이승형 기자I 2013.01.29 06:30:02
[글·사진=이데일리 이승형 선임기자] 바람. 기압의 차이에 따른 대기의 이동. ‘맥스웰의 악마’처럼 고기압과 저기압을 오가며 그 가운데 놓인 삼라만상을 어루만지고 솎아내는 자연의 힘.

온몸으로 바람과 마주한다는 것은 우주의 일부가 되는 일이다. 육신과 영혼은 바람과 함께 왔고, 바람처럼 떠돌다 바람과 함께 우주 저 편으로 사라질 것이다. 우리네 인생, 결국 스쳐가는 한 줄기 바람 아니겠는가.

그러니 지금 눈을 감고 두 팔을 벌려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정처없이 내동댕이쳐진 인생일지라도 그럴 자격은 있다.

우도봉 입구에서 바라본 해안 절벽. 바위의 형상이 누워있는 사자의 머리를 닯았다.


◇ 바람과 함께 걷는 섬, 우도

평원을 가로지른 바람이 쉼없이 돌진해 온다. 마치 심중에 상형문자라도 새길 기세로 몸을 관통하더니 이내 바다를 향해 거침없이 질주한다.

뺨은 얻어맞은 듯 얼얼하다. 눈에 눈물이 그렁그렁 고인다. 하지만 바람이 한바탕 훑고 간 몸 안에는 정화의 흔적이 남는다.

바람은 우도(牛島)를 찾은 손님들을 이렇게 열렬히 환영해준다. 1월의 우도에는 바람이 거세다. 우도 해안을 따라 걷는 올레길의 바람은 더 그렇다.

우도의 올레길은 항구에 도착하자마자 시작된다. 제주 성산포항에서 출발한 배는 요일과 시간에 따라 우도의 천진항과 하우목동항 두 곳으로 나뉘어 닿는다. 두 항구 중 어느 곳에서든 올레길은 열려 있다.

섬 한 바퀴를 원을 그리며 도는 올레길은 총 16.1km. 어른 걸음으로 5~6시간 걸린다. 제 자리에서 시작해 제 자리에서 끝난다. 만약 천진항에서 일주를 시작하면 우도봉과 검멀레를 지나 비양도망대와 산물통, 하우목동항, 쇠물통언덕 등을 거쳐 다시 천진항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 길을 걷다보면 하루에 세상의 모든 날씨를 모두 만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내리던 비는 길모퉁이 하나 돌아서면 진눈깨비로 변한다. 다시 언덕 하나 넘으면 구름이 사라지고 볕이 든다. 몸의 젖고 마름이 반복된다.

지난 24일 오전 우도봉 오르는 길. 간간히 비를 뿌리는 쌀쌀한 날씨임에도 여행객들이 적지 않았다.


지난 24일 오전 올레길을 걷다 먼저 찾은 곳은 우도에서 가장 높은 곳, 해발 132m의 우도봉이었다. 다른 계절이라면 이 곳에서 보는 우도의 평원과 바다는 온통 푸른 빛이었겠지만(실제 우도봉에서 내려다 본 절경을 지두청사(地頭靑莎:섬머리에서 본 푸른 잔디)라 부른다), 지금 여기는 영상 3도의 흐린 겨울날에 느껴지는 무채색의 분위기에 휩싸여 있다. 갈색 평원과 회색 하늘, 검은색 바다의 어울림.

해 좋은 날에 보이던 성산일출봉은 어렴풋이 윤곽만 보이고, 한라산도 이날 만큼은 구름인지 안개인지 모를 뿌연 것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우도봉 가장자리에는 등대공원이 있다. 1906년 지어져 지난 2003년 문을 닫은 옛 등대와 그 뒤를 이은 최신식 등대가 나란히 서 있다. 바람은 어느 새 방향을 바꿔 평원으로 향한다.

“바람이 어마어마하네요. 이러다 날아가는 거 아닌지 몰라요. 저 깃발 좀 보세요. 저러다 찢어질 것 같네요.”

대전에서 남편과 함께 이 곳을 찾은 여행객 김도희씨가 연신 옷깃을 여민다. 그녀의 말처럼 날아간다고 해도 이상하지 않을 바람이다. 밴드 ‘레너드 스키너드’의 ‘프리 버드(Free Bird)’처럼 이토록 아름다운 섬을 맘껏 볼 수만 있다면.

‘내가 내일 이 곳을 떠난다고 해도 당신은 나를 기억하실건가요. 나는 이제 여행을 계속해야만 합니다. 둘러봐야 할 곳이 너무나 많거든요….’

한 가족이 우도봉을 향해 힘겹게 가파른 길을 오르고 있다.


◇ 우도가 ‘보물섬’이라 불리는 까닭

우도라는 이름은 물소가 머리를 내민 형상을 닮았다 해서 붙여졌다. 이 섬이 세상에 나온 것은 신생대 제4기 홍적세(약 200만년~1만년 전)으로 추정된다. 사람이 정착하기 시작한 것은 조선 헌종 10년(1844년)때의 일이다.

다른 관광지들이 그렇듯이 우도에도 사자성어로 된 8경이란 것이 있다.

우선 등대공원을 지나 걷다보면 검멀레(검은 모래라는 뜻) 해안이 나온다. 우도봉의 협곡과 붙어 있는 100여m 길이의 작은 해변이다. 모래사장은 부드러워서 발걸음을 옮길 때마다 눈밟는 소리가 난다. 그런데 이 해변 끄트머리 절벽 아래 ‘콧구멍’이라 부르는 동굴이 있다.

길이 150m, 높이 20m, 넓이 15m 크기의 이 동굴엔 커다란 고래가 살았다는 전설이 있다. 그래서 이름이 동안경굴(東岸鯨窟)이다. 조선시대에 왜구들이 이 동굴에 숨어들어 말썽을 피웠는데 실제로 보면 이 안 어딘가에 보물이라도 숨겨져 있을 것만 같은 느낌이다.

우도 검멀레해안의 동굴. 썰물이 돼야 볼 수 있다.


검멀레와는 달리 우도 서쪽 해안에는 백사장이 있다. 눈이 부셔 잘 뜨지 못할 정도로 하얗다 못해 푸른 빛이 도는 모래 사장이다. 서빈백사(西濱白沙)다. 홍조단괴해빈(紅藻團塊海濱)이라고도 불리는데 살아있을 때 붉은 색이던 해초들이 죽은 뒤 퇴적됐다가 모래가루가 됐기 때문이란다. 천연기념물 438호다.

이 밖에도 바다 위에서 보는 우도 경관이 아름답다고 해서 붙여진 전포망도(前浦望島), 천진항에서 바라본 한라산을 뜻하는 천진관산(天津觀山), 햇빛이 만들어내는 동굴 속 달 모양이 일품인 주간명월(晝間明月) 등도 8경이라 부른다. 사람들은 이 모든 게 다 보물이라고 말한다.

“우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남동쪽에 있는 섬이라 ‘새벽을 여는 섬’이라고 한답니다. 가장 먼저 하루를 시작하는 섬이죠. 날씨만 좋으면 거문도, 보길도, 청사도 주변 섬들이 다 보여요. 뉴욕에 사시는 재미교포 한 분이 ‘전세계 안 가본 곳이 없는데 여기 만큼 광활하게 다 볼 수 있는 곳은 없다’고 하시더군요. 진짜 와 보시면 알게 됩니다.”

이 섬에서 40여년을 살아 온 57세의 여혜숙 문화해설사가 말한다. 미국 방송사 CNN이 ‘한국 여행 때 가봐야 할 50곳’중에 하나로 꼽고, 한국관광공사가 ‘한국인이 꼭 가봐야 할 국내 관광지 100선’에 포함시킨 이유는 그녀의 말 속에 있다.

우도 등대. 왼편 하얀 집은 1906년 지어진 등간이라고 부르는 곳으로 사람이 직접 불을 지펴 등을 밝히던 곳이다. 오른편 등대는 2003년까지 문을 열었다가 지금은 문화재로 영구히 보존되고 있다.


◇ 길라잡이

제주 성산항에서 우도로 가는 배는 매일 오전 8시부터 30분 간격으로 뜬다. 약 3.8km의 뱃길로, 15분 정도 걸린다. 우도에서 성산가는 마지막 배는 매일 오후 5시(11월~12월)이니 유념해야 한다. 왕복 비용은 5500원. 차를 갖고 우도를 갈 경우 중소형 승용차 기준으로 왕복 2만3000원이다. 만일 어른 2명이 차를 갖고 가면 모두 3만4000원을 내야 한다.



우도와 성산포를 오가는 배. 배 이름은 ‘우도사랑’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