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들의 사외이사 구성이 학계와 관료 출신에 치우치면서 전문성과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 이사회 구성원의 능력이나 경력 등을 시각화해 파악할 수 있는 BSM과 같은 제도적 장치의 도입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BSM은 이사회 구성원의 능력과 경력 등을 직관적으로 공개하는 시스템으로, 이를 활용하면 기업의 지배구조 투명성을 높이고 이사회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호주 등 일부 국가에서는 BSM 공시를 의무화해 대다수 기업이 BSM을 공시하고 있고, 미국도 S&P500에 속한 기업을 중심으로 절반이 넘는 기업이 BSM을 공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한국에선 BSM을 공개하는 데 법적 의무가 없고, 기업들이 BSM을 외부 감시 강화 요소로 받아들이면서 제대로 된 정착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또 기관 투자자들의 요구도 미미해 기업들이 공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얘기도 나온다. 이에 따라 이사회 내 전문성과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미흡하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BSM 등 제도적 장치가 의무화되면 국내 기업들의 경영 투명성이 향상되고, 투자자 신뢰도가 높아지리라고 전망한다. 박주근 리더스인덱스 대표는 “BSM을 이사회 전문성과 다양성을 끌어올리는 필수 요소로 인식해야 한다”며 “BSM 등의 도입과 정착이 기업 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투자자들의 신뢰를 확보하는 핵심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적극적인 논의와 제도적 뒷받침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