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들어 기본예탁금과 사전교육 등 파생 상품 투자가 까다로워진 데다 고난도 금융투자상품 규제 강화로 파생상품 전체 순자산은 전년 말 50조원에서 1분기 49조원으로 내려오는 등 규제 효과가 뚜렷했다. 하지만 3분기 기준 49조6000억원으로 늘어나는 등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KODEX 200선물인버스2X’의 경우에도 올해 7월 평균 일 거래량은 1억3406만주 정도였으나 이달 들어 2억6547만주로 2배 이상 늘어났다. 오미크론의 등장,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조기 테이퍼링, 중국 헝다 디폴트 우려 재부각, 내년 실적 둔화 전망 등 매크로 불확실성이 짙어지자 국내 증시가 꺾일 수 있다는 불안감이 ‘곱버스’ 투자로 이어진 셈이다.
코로나19 이전 가격을 넘어섰던 국제 유가도 오미크론으로 수요 위축 가능성이 부각되자 WTI(서부텍사스유) 기준 60달러대로 다시 고꾸라지고 있다. 추후 반발 매수세를 기대한 자금이 ‘삼성 레버리지 WTI원유 선물 ETN’(60억원), ‘신한 레버리지 WTI원유 선물 ETN(H)’(45억원) 등으로 향하고 있다.
반면 해외 증시는 국내 증시엔 상장되지 않은 3배 레버리지 상품을 중심으로 상승에 기대를 걸었다. 같은 기간(실제 결제 시점은 -3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세이브로)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들은 나스닥100 지수를 3배 추종하는 PROSHARES ULTRAPRO QQQ ETF(TQQQ)를 테슬라(1억7307만 달러) 다음으로 가장 많은 7590만 달러치 순매수결제했다. 매수결제와 매도결제를 더한 거래결제로 봐도 TQQQ는 3억355만원치를 사고 팔았다.
이밖에도 ‘Direxion Daily S&P Biotech Bull 3X Shares ETF’(LABU, 바이오테크, 1791만 달러), ‘Direxion Daily Semiconductor Bull 3X Shares ETF’(SOXL, 반도체, 1513만 달러), ‘MicroSectors US Big Banks Index 3X Leveraged ETNs’(BNKU, 금융주, 1348만 달러) 등 테마형 3배 레버리지 상품을 적극적으로 순매수했다.
업계는 이 같은 ‘온도차’를 국내와 선진국에 대한 차별화된 투자 심리에서 찾는다. 지난해말 대비 지난 5일까지 코스피 지수는 5.24% 올랐으나, 같은 기간 미국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과 나스닥 지수는 각각 21.77%, 17.39% 상승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일종의 학습효과로 올해 코스피 지수 흐름이 지난해 대비 부진했고, 특히 개인 투자자가 몰린 반도체 대형주가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매크로 불확실성이 더해져 ‘지금이 고점’이라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에 비해 미국 증시는 올해 꾸준히 우상향했고, 연준 금리인상은 내년 중으로 예상되는 만큼 선진국은 신흥국 보다 덜 타격을 입을 것이란 예상에 똑같은 변동성 장세에도 저가 매수로 접근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국내 증시가 미국 대비 상대적 부진을 메워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경기 부진과 국내 기업공개(IPO) 부담 영향으로 원화와 코스피 지수는 한동안 방역 정도와 펀더멘털 대비 약한 모습을 그동안 보여줬으나 오미크론 이슈에도 주가가 잘 견뎌내는 등 상대적 부진은 진정되고 있다”면서 “(시가총액 비중이 높은)삼성전자(005930)와 SK(034730) 하이닉스 등 반도체주에 대한 시각이 개선된 점은 긍정적”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