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이노텍 광학솔루션 사업부의 공장가동률이 떨어진 1차 원인은 대규모 설비 투자에 따른 생산능력 확대 영향 때문이다. 조단위 설비 투자로 모수인 생산능력이 대폭 늘면서 가동률은 오히려 떨어진 것이다.
실제 LG이노텍 광학솔수션 사업부의 설비 투자 규모는 △2019년 2821억원 △2020년 4798억원 △2021년 8355억원 △2022년 1조561억원 △2023년 1조6563억원 등으로 늘었다.
다만 지난해의 경우 애플 등 고객사 수요 부진으로 생산실적 자체가 감소하면서 가동률에 악영향을 미쳤다. 애플 아이폰 판매가 답보 상태에 머물면서 가동률을 끌어올리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현재 LG이노텍 광학솔루션부문이 생산하고 있는 카메라모듈 대부분은 애플에 납품되고 있다.
문제는 떨어진 가동률 탓에 천문학적 규모의 설비투자가 원가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통상 매출원가는 생산비가 늘어날 경우 비례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원재료 가격이 상승하거나 생산성이 감소해 규모의 경제 달성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생산성은 일정 수준 이상의 생산량을 유지했을 때 최대가 되는데 가동률이 낮을 경우 단위당 생산비용이 증가해 원가 부담 확대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생산에 투입되는 고정비로는 임대료와 보험료, 유지 보수 비용 등이 있다.
|
특히 설비투자에 따른 금융 비용 부담도 증가 추세다. LG이노텍의 지난해 말 기준 차입금 규모는 2조7377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35.6% 증가했다. 현금흐름표 상 차입금상환에 지출된 현금도 2조4103억원으로 같은 기간 6064억원 대비 4배 가까이 늘었다. 이자비용을 뜻하는 금융원가도 같은 기간 539억원에서 1018억원으로 88.9% 늘었다.
시장에서는 LG이노텍이 광학솔루션사업부의 가동률을 끌어올리는 데 당분간 제한이 따를 것으로 보고 있다. LG이노텍이 애플 아이폰 판매가 부진한 상황에서 재고 부담을 감내하면서까지 생산량을 늘릴 이유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올해 아이폰 출하량이 15% 줄어들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점도 이같은 전망에 힘을 싣는다.
실제 LG이노텍의 재고자산은 지난해 들어 겨우 안정화된 상태다. 2022년 2조원애 육박했던 LG이노텍의 재고자산은 지난해 신형 아이폰 출시에 힘입어 일부 소진에 성공하며 1조5000억원대로 줄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대규모 시설투자가 이뤄진 상태에서 가동률이 반등하지 않으면 고스란히 비용 부담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다만 LG이노텍이 XR 등 미래 먹거리 등을 고려해 투자를 진행한 만큼 좀 더 지켜볼 필요는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