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오롱글로벌은 지난해 말 신용평가사 등 관련 업계로부터 PF 우발채무 규모가 과중하다는 평가를 받은 이후 브릿지론을 비롯한 PF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상당한 공을 들였다. 실제 한국주택금융공사(HF)는 코오롱글로벌의 대전 봉명 사업장에 대한 최종 기표를 마치고 브릿지론을 본 PF로 전환한 바 있다.
코오롱글로벌의 본PF 전환 노력은 차입구조 장기화 측면에서도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비록 부채비율이 크게 늘었지만 유동성 부담을 일부 해소했다. 코오롱글로벌의 올해 1분기 말 기준 유동비율은 131.4%로 전년 말 108.3% 대비 23.1% 상승했다. 아직 적정 수준인 150%에 미치진 않지만 개선폭이 컸다.
전체 차입금에서 단기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도 크게 줄었다. 같은 기간 코오롱글로벌의 단기사채를 포함한 단기차입금 비중은 29%에서 19.9% 10%p 가까이 하락했다. 단기차입금이 1년 내 만기가 도래한다는 점에서 상환 부담을 크게 줄였다는 평가다.
다만 분양시장 침체 심화와 건설업황 악화 여파로 여전히 높은 PF 규모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안심하기에는 다소 이르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미청구공사를 포함한 미수금이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불안감이 여전하다.
실제 본PF를 포함한 코오롱글로벌의 전체 PF 우발채무 규모는 1조4976억원으로 전년 말 1조9477억원 대비 23.1% 줄었지만 여전히 1조원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미분양 발생 시 본PF도 리스크를 피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불안요소라는 평가다.
부동산 시장이 호황일 때는 사업성이 확보가 수월한 만큼 건설사가 신용보강을 하더라도 위험 부담이 크지 않다. 하지만 부동산 경기 침체 국면 속에서는 시행사의 부도 가능성이 월등히 높아지기 때문에 신용보강 자체가 건설사의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소로 작용한다.
또 코오롱글로벌의 매출채권은 4669억원으로 전년 말 3846억원 대비 21.4% 증가했다. 이 중 미청구공사는 3067억원에서 3611억원으로 17.7% 늘었다. 발주처에 대금을 청구하지 않은 미청구공사 특성상 당장 실적에 영향을 끼치진 않지만 부동산 경기 회복이 요원한 상황에선 장기적으로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이와 관련 코오롱글로벌 관계자는 “건설매출 증가, 기성지급일, 공정 및 공사비 청구 시점차이 등으로 인해 공사미수금 및 미청구공사 증가했다”며 “올해 주택 준공사업지 입주 진행에 따라 점차 감소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