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펩타이드에 저분자화합물까지’ 갈수록 진입장벽 높아지는 비만약 시장

나은경 기자I 2025.01.23 09:05:35
[이데일리 나은경 기자] 비만약 시장을 공고하게 장악하기 위해 글로벌 빅파마들이 진입장벽을 높이는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효과가 입증된 펩타이드 기반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비만약은 물론 저분자화합물 기반 GLP-1 비만약 개발도 병행하면서 다양한 비만약 라인업을 구축하겠다는 포석을 두고 있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장기적으로 펩타이드 주사제와 저분자화합물 경구약이 비만약 시장의 확고한 두 축으로 자리잡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14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한미약품(128940)은 저분자화합물 기반 GLP-1 수용체작용제 비만약을 개발 중이다. 앞서 공개한 6개의 펩타이드 형태 비만약 파이프라인에 저분자화합물 기반 GLP-1 신약을 추가로 개발한다는 얘기다. 펩타이드 형태 비만약은 주사제로, 저분자화합물 기반 비만약은 먹는 약으로 각각 개발한다.

최인영 한미약품 R&D센터장은 “한미약품도 저분자화합물 형태 GLP-1 비만약 개발에 돌입, 현재 디스커버리 단계에 있다”고 말했다.

한미약품의 이 같은 선택은 최근 글로벌 빅파마들의 비만약 개발 방향과도 무관치 않다. 저분자화합물 GLP-1 비만약의 경우 일라이 릴리의 ‘오포글리프론’이 가장 앞선 상태인데, 일라이 릴리는 ‘마운자로’에 이어 후속 비만약인 ‘레타트루타이드’까지 펩타이드 형태 비만약 개발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화이자의 ‘다누글리프론’도 대표적인 저분자화합물 형태의 GLP-1 비만약으로 꼽힌다. ‘삭센다’로 펩타이드 기반 GLP-1 비만약 시장의 포문을 연 노보 노디스크도 예외가 아니다. 노보 노디스크는 지난해 초 스위스 바이오벤처 에라칼테라퓨틱스로부터 저분자화합물 GLP-1 비만약 후보물질을 2억3500만유로(3418억원) 규모에 사들였다.

(그래픽=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펩타이드 GLP-1, 먹는 약은 ‘가성비’ 낮다?

저분자화합물 형태 GLP-1 비만약은 개발이 어렵고 펩타이드 형태 GLP-1 비만약에 비해 부작용이 커 상대적으로 개발이 더뎠다. 그럼에도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저분자화합물 GLP-1 개발을 포기하지 못하는 이유는 결국 ‘경제성’ 때문이다. 장기 복약 편의성을 감안했을 때 핵심은 경제성에 있는데 펩타이드 GLP-1 비만약을 먹는 약으로 만들 때는 생산단가가 너무 높아져 장기 복약을 하기 어려워서다.

최인영 센터장은 “저분자화합물 의약품 중에서도 GLP-1 수용체작용제는 분자량 자체도 크고 구조도 복잡해 합성이 만만치 않다”면서도 “피하주사용 펩타이드 GLP-1 약과 경구용 저분자화합물 GLP-1 약의 생산단가는 단순 비교가 어렵지만, 경구용 펩타이드 GLP-1 약과 경구용 저분자화합물 GLP-1 약은 생산단가의 차이가 아주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펩타이드는 생체흡수율 문제 때문에 경구용으로 만들었을 때 주사제의 100배 이상의 양을 먹어야 하기에 생산이슈가 생길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GLP-1 비만약 개발에 있어) 펩타이드와 저분자화합물 개발은 함께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노보 노디스크는 세마글루타이드 성분 피하주사용 비만약 위고비 개발에는 성공했지만 같은 성분의 먹는 비만약은 아직 허가를 받지 못했다. 대신 동일 성분에 이보다 용량이 낮은 당뇨약 ‘리벨서스’만이 경구용 약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를 받은 상태다.

다만 저분자화합물 GLP-1 약의 경우 안전성 검증이 아직 이뤄지지 않았고 최근 ‘대세’로 떠오른 다중작용기전으로의 설계가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슬기 디앤디파마텍 대표는 “일반적으로 저분자화합물 기반 GLP-1 약은 세포 수용체와의 비특이적 결합이라는 특성 때문에 간 손상과 같은 오프-타깃 부작용에 대한 안전성 검증이 미흡하다”며 “아직 저분자화합물 기반 GLP-1 약물이 허가를 받은 사례가 없어 안전성 검증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분자화합물 GLP-1 약에서 주로 발생하는 위장관계 부작용의 경우 복용 초반에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장기 복용하게 되면 부작용 이슈가 줄어들 수 있다는 반론도 있다. 국내에서 저분자화합물 GLP-1 비만약으로는 가장 개발 속도가 빠른 일동제약(249420) 자회사 유노비아의 이재준 대표는 “ID110521156의 위장관계 부작용은 용량적정(titration)으로 최소화할 예정”이라며 “ID110521156의 경우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와 데이터를 감안할 때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하고 용량적정도 간편하다”고 말했다. 용량적정이란 최적의 용량이 100이라면 100으로 가기 전까지 10, 20, 30 등으로 조금씩 양을 늘려 환자가 부작용 없이 약의 최적 용량에 적응할 수 있게 투약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 그는 “펩타이드 형태 주사제 비만약은 몸무게를 한꺼번에 많이 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복용을 중단하면 요요현상을 피하기 어렵다”며 “저분자화합물 형태의 먹는 비만약은 일상에서 저렴한 가격에 쉽게 복용할 수 있어 주사제로 뺀 몸무게를 유지하는 데 적합하다. 펩타이드 형태 주사제와는 타깃 시장이 다르다”고 덧붙였다.

◇포트폴리오 효과로 브랜드 해자 구축

골드만삭스는 세계 비만약 시장 규모가 오는 2030년 1000억 달러(146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같은 상황에서 결국 글로벌 빅파마들이 먹는 비만약, 비만 주사제, 붙이는 비만약, 장기지속형 비만주사제 등 다양한 제품군 개발에 나선 것은 후발주자들이 쉽게 진입할 수 없도록 해자(垓子)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대부분의 글로벌 빅파마는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기전, 여러 제형의 비만약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이로 인해 유망한 비만약 후보물질 확보에도 경쟁이 붙었다. 일라이 릴리는 지난 2023년 비만약 파이프라인 강화를 위해 버사니스바이오를 인수했고, 아스트라제네카도 중국 에코진으로부터 비만약 후보물질을 도입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비만약을 개발해 중간 단계에서 빅파마로 기술이전하는 것이 목표라면 큰 기회의 장이 열리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직접 비만약 개발부터 상품화까지의 전 과정을 염두에 둔다면 글로벌 빅파마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포트폴리오가 필요하다는 얘기가 된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GLP-1 비만약 파이프라인을 가진 디앤디파마텍(347850)은 미국 뉴욕에 본사를 둔 차세대 비만·대사계 질환 치료제 개발 전문 제약기업 멧세라에 대부분의 파이프라인을 기술이전해 전자의 기회를 잡은 상태다.

반면 한미약품은 근육을 늘려주는 비만약, 저분자화합물 형태 먹는 비만약, 체중감소율이 높은 피하주사용 비만약은 물론 패치형 비만약까지 다양한 비만약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경쟁 체제에 대비하고 있다.

최 센터장은 “‘전체 비만약 시장에서 먹는 약을 개발하는 회사가 위너가 된다’, ‘주사제 개발사는 결국 도태된다’와 같은 생각은 맞지 않다”며 “각각의 영역에서 서로 다른 환자들의 수요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회사가 살아남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