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경기침체 직격탄' 국책銀, 9000억 부실채권 매각

이수빈 기자I 2025.03.25 18:43:39

산업銀 1991억, 기업銀 7000억
전년비 16% 증가…상반기 매각 진행
시중은행보다 중기 더 지원한 영향
미국發 통상 압력 등 부실채권 더 늘 수도

[이데일리 이수빈 기자] 국책은행이 올해 상반기 중 약 9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매각한다. 다른 시중은행보다 중소기업을 더 많이 지원했던 만큼 경기침체 장기화에 따른 타격도 더 큰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이 그간 건전성 관리를 강조해옴에 따라 국책은행의 부실채권 정리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이달 27일까지 부실채권 매각 주관사를 모집하고 1991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매각하기로 했다. 매각대상자산은 일반자산, 특별자산, 특수자산이며 매각대상자산 정보는 이달 14일을 기준으로 했다. 자산 확정일은 이달 31일이다.

산업은행이 올해 상반기 매각을 추진하는 부실채권 규모는 지난해보다 절반 가까이 줄었다. 산은의 부실채권 매각 규모는 지난 5년간 2024년 5108억원, 2023년 2950억원, 2022년 3673억원, 2021년 3145억원, 2020년 4586억원 수준이었다.

산은 관계자는 “이번 매각액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줄어든 수치다”며 “매년 한두 차례 정도 부실채권을 매각해왔다”고 설명했다.

기업은행은 올해 상반기 7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매각한다. 지난해 같은 기간 6541억원을 매각한 것에 비해 500억원 가량 늘어났다. 중소기업 대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업은행으로선 고금리와 고환율의 직격탄을 맞은 주요 중소기업의 경영상 어려움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기업은행이 매각한 부실채권 규모는 1조 7300억원으로 시중은행인 하나은행(1조 2600억원), 우리은행(1조 500억원)보다 많다. 2021년 1조 1700억원, 2022년 8200억원, 2023년 1조 1500억원 수준이다.

기업은행과 산업은행의 지난해 4분기 고정이하여신 규모는 각각 4조 2000억원, 1조 2000억원이다. 고정이하여신은 3개월 이상 연체한 여신으로 통상 부실채권으로 분류한다. 금융사는 3개월 이상 연체한 고정이하여신을 장부상에서 지워버리는 ‘상각’이나 헐값에 넘기는 ‘매각’을 통해 부실채권 비율을 낮춘다.

시중은행과 비교해 국책은행의 건전성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기업은행과 산업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각각 1.30%, 0.60%다. 4대 시중은행(신한·KB국민·하나·우리) 평균이 0.27%인 것을 고려하면 건전성 관리에 촉각을 곤두세워야 할 상황이다.

산은과 기은의 부실채권 매각 규모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불확실한 국내외 산업 환경으로 기업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데다 글로벌 시장 경쟁도 심화하고 있어서다. 여기에 미국 트럼프 정부의 통상 압력까지 더해져 기업 경영이 악화할 수 있어 부실채권이 급증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수년간 코로나19 여파로 부실채권이 늘어난 상황에서 미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 압력 등이 더해져 기업의 경영상황이 불안정하다”며 “산은과 기은이 처리해야 할 부실채권도 계속 늘어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