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사노조는 ”계엄·탄핵 이슈 기간 흔들렸던 일상과 표류해온 사회적 과제들은 제자리를 찾아야 한다“며 ”교사들은 학생을 건강한 민주시민으로 양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같은 날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도 “민주주의·법치주의를 지켜낸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탄핵인용을 환영한다”며 “시민들의 힘으로 이뤄낸 민주주의의 승리”라고 평가했다.
이들은 “교육으로 새로운 민주주의를 만들어 새로운 시대로 나아가겠다”며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교육자료화 법안·고교 무상화 예산 법안을 다시 통과시키고 교사·학생·시민들과 함께 교육대개혁을 시작할 것”이라고 했다.
전국특수교사노동조합도 “이번 결정은 단순한 법적 판단을 넘어 국민의 기나긴 투쟁의 노력으로 인해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여전히 살아 있음을 보여준 상징적 사건”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도 “승리를 위해 함께한 날들을 새기며, 다시 써 내려갈 민주주의의 새 역사를 환영한다”고 했다.
앞서 헌법재판소는 이날 오전 대심판정에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기일을 열어 탄핵소추안을 인용했다. 문형배 헌재소장 대행은 오전 11시 22분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고 선고했다. 재판관 8인은 전원일치로 윤 전 대통령 파면을 결정했으며, 윤 전 대통령의 위헌·위법 행위가 파면에 이를 정도로 중대하다고 판단했다.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이후 123일 만에 이뤄진 헌재 선고로 윤전 대통령은 대한민국 헌정 사상 두 번째로 탄핵으로 물러난 대통령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