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대기업들 ‘유증·IPO’ 살얼음…재무전략 부담 확대

김성진 기자I 2025.04.07 15:53:33

한화에어로, 유증 정정신고 준비 중
SK·LS “중복상장 우려 면밀히 검토”
상법개정안 폐기·재추진 움직임 관건
전문가 “정상 기업활동 위축 경계해야”

[이데일리 김성진 기자] 최근 국내 주식시장에서 ‘밸류업’(기업 가치 제고)과 소액주주 보호 움직임 확대로 대기업들의 자본조달 전략에도 부담이 커지는 모습이다. 기업공개(IPO)나 유상증자를 추진하다 소액주주들의 저항을 받으며 금융당국에 제동이 걸리는 사례가 늘어나면서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달 27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유상증자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를 받고 현재 이에 대한 준비 작업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게 유상증자를 선택한 이유와 증자시점, 자금사용 목적 등을 투자자들에게 충분히 설명해야 한다고 했다. 금감원으로부터 정정 요구를 받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3개월 이내에 정정신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철회한 것으로 간주된다.

금융감독원.(사진=금융감독원.)
앞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달 20일 3조6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계획을 발표했다.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이 자국 방산 능력을 강화하는 시점에 맞춰 선제적인 투자로 시장을 확장하기 위한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주주들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뛰어난 현금창출능력을 근거로 “꼭 유증이 필요했는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유상증자 발표 직전 한화오션 지분 7.3%(주당 5만8100원)를 약 1조3000억원에 사들인 것에 대해 비판의 날을 세웠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등 임원진은 9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며 주주 달래기에 나섰다.

지난해엔 두산그룹이 밥캣을 두산에너빌리티에서 떼어내 로보틱스 자회사로 만든 뒤 합병하는 사업재편을 추진하다가 금감원의 문턱을 넘지 못하기도 했다. 분할합병 비율이 주주들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이후 두산밥캣을 두산로보틱스 자회사로 편입시키는 쪽으로 계획을 바꿨지만, 이마저도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하락으로 결국 철회됐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자본조달을 추진하는 주요 기업들도 소액주주 눈치를 보는 모양새다. SK이노베이션은 윤활기유 자회사 SK엔무브의 IPO를 검토 중인데, 중복상장 우려에 대한 조심스러운 입장을 나타냈다. 박상규 SK이노베이션 사장은 지난달 28일 주주총회에서 “자본조달 방안 중 하나로 IPO를 검토 중이나 현재 구체적인 방안은 확정된 바 없다”며 “이중상장 부담에 대해 염려하고 있고 해결 방안을 포함해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앞으로 주요 계열사들을 연속 상장시키겠다는 청사진을 공개한 LS그룹도 주주가치 제고에 신경 쓰는 모습이다. 명노현 ㈜LS 대표이사 부회장은 지난달 27일 계열사 중복상장으로 주주가치가 희석될 수 있다는 시장의 우려에 대해 “주주들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기업공개(IPO) 추진 시 주주 및 시장과 적극적으로 소통해 주주 가치가 훼손되는 일이 없도록 면밀히 살피겠다”고 밝힌 바 있다.

게다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으로 더불어민주당이 추진하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에 의해 거부당한 상법 개정안이 다시 힘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민주당은 주주 충실 의무를 담은 상법 개정안이 폐기될 경우 재추진하겠다는 입장인데, 이를 당론으로 정한 민주당이 여당이 될 경우 상법 개정안이 통과될 가능성도 커질 전망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주주가치 제고 흐름이 기업활동 위축으로 이어지진 않을지 우려도 내비친다. 업계 전문가는 “기업들의 주주가치 제고는 환영할 만한 일”이라면서도 “이 때문에 정상적인 기업활동도 왜곡해 인식하는 것은 경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