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삼일PwC, 아태 14개국 중 12개국 지속가능성 공시 규제 확정

김경은 기자I 2025.04.11 14:37:53

삼일PwC, 지속가능성 공시 현황 리포트 발간
14개국 중 8개국 공시의무화...한국 등 4곳 연내 추가 예정
“한국, 성과와 보상 연계 및 내부 감사 통한 인증 체계 미흡”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글로벌 지속가능성(ESG) 규제 추진 속도는 둔화됐지만 아시아태평양(이하 아태) 지역을 비롯한 글로벌 지속가능성 규제의 방향성은 명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태 지역 14개국 가운데 12개국이 지속가능성 공시 규제를 이미 확정했거나 올해 안에 확정 예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삼일PwC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아시아·태평양 14개국 지속가능성 현황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회계 컨설팅 그룹인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가 조사한 아태 지역의 규제 현황을 짚어보고, 해당 지역 시가총액 상위 50대 기업 데이터를 바탕으로 글로벌 지속가능성 공시 동향과 한국 기업이 보완해야 할 핵심 과제를 제시하기 위해 작성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자체 기준을 채택한 인도와 베트남을 제외하면 현재 호주, 중국, 홍콩,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만 등 6개국은 ISSB의 IFRS S1 & S2 기준을 기반으로 공시 의무화를 확정했다. 한국을 포함한 4개국(일본, 태국, 인도네시아)도 올해 안에 공시 로드맵을 확정할 전망이다. 특히 일본은 지난 3월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을 확정한 후, 2026년 정보를 2027년 공시하는 것을 추진 중이다.

출처: 삼일PwC
이에 따라 내년부터 공시 의무화를 시작하기로 한 국가도 4개국으로 집계됐다. 인증 의무화도 속속 제정되고 있다. 호주, 말레이시아, 싱가포르가 공시 인증을 의무화했으며 3개국이 ISSA 5000을 인증 기준으로 채택했거나 현재 개발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기업은 이사회 책임과 리스크 관리 절차를 적극 공시하고 있으며, 대부분 단기 목표보다 중장기 지속가능성 전략을 우선하는 경향을 보인다”며 “점점 더 많은 기업이 기후 목표 및 관련 지표를 공개하고 있지만, 기후 리스크 분석을 반영한 공시는 아직 제한적인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배출량 공시 방식에도 차이가 드러났다. 스코프(Scope) 3 배출량을 공시하는 기업 중 상당수가 기본적인 정보 제공에만 그쳤으며 세부 데이터를 공개하는 기업은 소수에 불과했다.

한국 기업의 경우 아태 지역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공시하고 있었지만, 일부 항목에서는 개선할 점이 확인됐다. 아태 지역 기업과 비교했을 때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지속가능성 성과와 보상 연계 △내부 감사를 통한 인증 △인증 기준 채택 차이 등이었다.

먼저 한국 기업은 지속가능성 성과와 경영진 보상을 연계하는 비율이 48%를 기록했으며 이는 아태 지역 국가들 가운데 중위권 수준이다. 내부 감사를 통한 인증 체계도 미흡한 것으로 지적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기업은 외부 인증을 적극 활용하며 98%의 높은 공시율을 기록했지만,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내부 감사를 통한 인증을 병행하는 비율은 2%에 그쳐 아태 지역 평균(33%)을 크게 밑돌았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인증 기준이자 아태 지역에서 가장 널리 채택된 기준은 ISAE 3000이었지만, 한국 기업의 ISAE 3000 채택률은 27%에 그쳤다. 한국 기업의 86%는 AA1000 기준을 사용하고 있다.

삼일PwC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한국 기업이 지속가능성 공시의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 향상에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유연한 대응 전략 마련 △경영진 보상 연계 확대 △공시 신뢰성 강화 등 세 가지 주요 과제를 제시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